'기후에너지부'에 쏠린 눈…규제 vs 진흥 양립할까? [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⑦]

입력 2025-06-17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5-06-16 17:0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기후에너지부' 신설 공약…'진흥' 산업부와 '규제' 환경부 결합에 진통 얼마나
산업과 에너지 분리로 제조업 경쟁력 잃을 수도…신중해야

▲챗GPT를 이용해 만든 가상의 기후에너지부 로고. (챗GPT 이미지)
▲챗GPT를 이용해 만든 가상의 기후에너지부 로고. (챗GPT 이미지)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내걸었던 '기후에너지부' 신설을 두고 규제와 진흥의 기능이 한 공간에서 양립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각에서는 제조업 강국인 우리나라 여건상 산업과 에너지가 헤어지는 것이 맞느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는 상황이다.

이 대통령은 정책 공약집에서 '친환경 재생에너지 대전환'과 'RE100 실현'을 위해 '기후에너지부' 신설을 약속했다.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글로벌 환경 규제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인공지능(AI) 등 전력 다소비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환경 에너지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이 신설 근거다. 기후에너지부를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 위기 대응과 에너지 정책을 연계한 기후·에너지 정책의 컨트롤타워로 삼겠다는 것이다.

다만, 현 정부가 인수위원회 없이 출범했고 통상, 외교, 계엄 국정 공백 등의 문제가 산적해 구체적인 추진 방향은 아직 제시되지 않은 상태다.

'기후에너지부'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정책 부문과 환경부의 기후 위기 대응 부문을 떼어 한데 모으는 방식으로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진흥 부처 산업부와 규제 부처 환경부의 결합이라는 점이다. 상반된 입장을 가진 산업부의 에너지 업무와 환경부의 기후 업무가 하나로 융화되는 것은 단순히 부처를 신설한다고 이뤄지지 않는다.

또한, 산업·에너지·통상 정책을 다루는 산업부에서 에너지 부문을 떼어내면 산업 부문과 에너지 부문에서 괴리가 발생해 전력 공급 안정성이 떨어지고 산업 경쟁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특히, '규제'에 무게 중심이 잡히면, 원전 등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에너지 정책에 찬물을 끼얹을 수도 있다.

전문가들도 기후에너지부 신설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는 "영국과 독일이 제조업 경쟁력을 잃게 된 여러 원인 중 산업과 에너지 정책을 담당했던 부처가 결별한 것도 있다"며 "기후와 에너지가 하나의 부처로 합쳐지고 산업은 따로 있게 되면 산업을 염두에 두지 않게 돼 국제 사회에서 산업 경쟁력을 잃어버릴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에너지와 산업이 헤어지는 건 제조업이 강국인 우리나라에선 신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차주 1인당 평균 가계대출 9600만 원 ‘역대 최고’ [빚더미 한국①]
  • 넷플릭스 휩쓴 K콘텐츠 오징어 게임 2억3100만 뷰 시청
  • 치이카와→태닝 키티→라부부…다음 유행할 인형의 정체는?! [솔드아웃]
  • 폭우에 인천 문학-광주 챔피언스필드 경기 우천 취소…후반기 레이스 운영 차질
  • “상용화 다가온 XR 시장”…삼성전자, 하반기 승부수 띄울까
  • 美 하원, 스테이블코인 규제법안 가결…트럼프 책상으로
  • 복날엔 삼계탕, 언제부터 시작됐을까? [그래픽 스토리]
  • 광명 아파트 화재, 3명 사망…지상 주차장 스프링클러 없었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7.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0,623,000
    • -1.18%
    • 이더리움
    • 4,872,000
    • +4.01%
    • 비트코인 캐시
    • 702,500
    • +4.31%
    • 리플
    • 4,697
    • +2.71%
    • 솔라나
    • 241,700
    • +1.64%
    • 에이다
    • 1,118
    • +1.27%
    • 트론
    • 444
    • +3.02%
    • 스텔라루멘
    • 639
    • -1.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39,910
    • +2.31%
    • 체인링크
    • 24,250
    • +3.28%
    • 샌드박스
    • 446
    • +3.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