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전쟁여파' 2900선 아래로⋯8일 만에 하락 전환

입력 2025-06-13 13: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단기 과열 부담에 관세·중동 리스크 하방 압력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에 방산주 강세

코스피가 13일 2900선 아래로 떨어졌다. 이스라엘 이란 전쟁 발발과 최근 계속된 랠리에 따른 부담으로 8거래일 만에 하락 전환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오후 1시 37분 현재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7.61포인트(-1.29%) 내린 2882.42를 나타냈다.

지수는 전장보다 10.54포인트(0.36%) 오른 2930.57로 출발했으나 이후 약세 전환해 하락폭을 키우고 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이 5608억 원 순매수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71억, 5552억 원 순매도했다.

간밤 뉴욕증시는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와 관세 이슈에 하락 출발했으나 물가 개선과 금리인하 기대로 3대 주요 지수가 모두 상승 마감했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현재 25%인 자동차 관세를 추가 인상할 가능성을 언급한 것은 상승을 제한하는 요소로 작용했다.

관세 이슈가 최근 급등으로 단기 부담이 있는 국내 증시의 상승 탄력 둔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과 이란의 핵 협상이 결렬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전해진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소식도 증시에 하방 압력을 가하고 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삼성전자(-2.69%), LG에너지솔루션(-4.61%), 현대차(-1.64%), 두산에너빌리티(-0.18%) 등은 하락세다. SK하이닉스는 (0.64%) 오름세다.

풍산(19.52%), HD한국조선해양(1.67%), 현대로템(2.67%), HD현대중공업(1.67%) 등 방산·조선 종목은 강세다.

업종별로는 항공사(-6.18%), 생물공학(-5.74%), 건강관리와장비용품(-4.59%) 등은 내리고 해운사(6.76%), 우주항공과국방(2.03%), 비철금속(1.56%) 등은 오르고 있다.

같은 시각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5.98포인트(3.29%) 내린 763.47이다.

지수는 3.23포인트(0.41%) 오른 792.68로 장을 시작했으나 이후 하락폭을 키우고 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외국인이 3141억 원 순매수하고 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273억 원, 753억 원 순매도 중이다.

시총 상위 종목인 알테오젠(-6.94%), 에코프로비엠(-5.64%), HLB(-2.81%), 에코프로(-4.91%), 레인보우로보틱스(-5.36%) 등 대부분이 하락 중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손풍기 말고 이것"…'40도 폭염'에 주목받는 '생존 매뉴얼' [이슈크래커]
  • 초고령사회 한국, 미래 준비할 때 [초고령 대응, 선험국에서 배운다]
  • 광주 제석산 구름다리서 또 '추락사'...안전대책 절실
  • 지카·니파·엠폭스·뎅기열·에이즈·아메바…동남아 여행 공포심 불러온 바이러스 [해시태그]
  • 美 수출액만 26조원인데...직격탄 맞을까 불안한 中企
  • "25% 관세 현실화하면 성장률 반토막"...막판 협상에 달린 韓경제
  • 체감온도 35도↑…계속되는 폭염에 인명 피해도 급증
  • [송석주의 컷] 여름의 냉기가 피어오르는 이상한 영화
  • 오늘의 상승종목

  • 07.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9,085,000
    • +0.39%
    • 이더리움
    • 3,698,000
    • +3.79%
    • 비트코인 캐시
    • 689,500
    • +0.95%
    • 리플
    • 3,260
    • +3.23%
    • 솔라나
    • 210,800
    • +1.74%
    • 에이다
    • 834
    • +3.73%
    • 트론
    • 394
    • +1.03%
    • 스텔라루멘
    • 397
    • +13.43%
    • 비트코인에스브이
    • 34,110
    • +1.31%
    • 체인링크
    • 19,190
    • +2.07%
    • 샌드박스
    • 358
    • +5.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