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전쟁여파' 2900선 아래로⋯8일 만에 하락 전환

입력 2025-06-13 13: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단기 과열 부담에 관세·중동 리스크 하방 압력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에 방산주 강세

코스피가 13일 2900선 아래로 떨어졌다. 이스라엘 이란 전쟁 발발과 최근 계속된 랠리에 따른 부담으로 8거래일 만에 하락 전환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오후 1시 37분 현재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7.61포인트(-1.29%) 내린 2882.42를 나타냈다.

지수는 전장보다 10.54포인트(0.36%) 오른 2930.57로 출발했으나 이후 약세 전환해 하락폭을 키우고 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이 5608억 원 순매수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71억, 5552억 원 순매도했다.

간밤 뉴욕증시는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와 관세 이슈에 하락 출발했으나 물가 개선과 금리인하 기대로 3대 주요 지수가 모두 상승 마감했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현재 25%인 자동차 관세를 추가 인상할 가능성을 언급한 것은 상승을 제한하는 요소로 작용했다.

관세 이슈가 최근 급등으로 단기 부담이 있는 국내 증시의 상승 탄력 둔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과 이란의 핵 협상이 결렬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전해진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소식도 증시에 하방 압력을 가하고 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삼성전자(-2.69%), LG에너지솔루션(-4.61%), 현대차(-1.64%), 두산에너빌리티(-0.18%) 등은 하락세다. SK하이닉스는 (0.64%) 오름세다.

풍산(19.52%), HD한국조선해양(1.67%), 현대로템(2.67%), HD현대중공업(1.67%) 등 방산·조선 종목은 강세다.

업종별로는 항공사(-6.18%), 생물공학(-5.74%), 건강관리와장비용품(-4.59%) 등은 내리고 해운사(6.76%), 우주항공과국방(2.03%), 비철금속(1.56%) 등은 오르고 있다.

같은 시각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5.98포인트(3.29%) 내린 763.47이다.

지수는 3.23포인트(0.41%) 오른 792.68로 장을 시작했으나 이후 하락폭을 키우고 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외국인이 3141억 원 순매수하고 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273억 원, 753억 원 순매도 중이다.

시총 상위 종목인 알테오젠(-6.94%), 에코프로비엠(-5.64%), HLB(-2.81%), 에코프로(-4.91%), 레인보우로보틱스(-5.36%) 등 대부분이 하락 중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규모 총파업·관세 폭탄…韓 제조업 뿌리가 흔들린다
  • '2조6천억원' 땅 지분 꼬였다…압구정 3구역 재건축 위기
  • 美, AI 칩 中 수출 재승인… 삼성 '반도체 봄' 다시 오나
  •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6년, 피해자 절반은 여전히 참는 중 [데이터클립]
  • "경영권 방어 방패 사라진다"… 자사주 많을수록 큰 타격
  • 범접, '스우파3' 충격 탈락
  • 범여권도 등 돌린 강선우·이진숙…대통령실 '침묵' 이유는
  • 단독 "공무원짓 자괴감"…청문회 '질의 폭탄'에 뿔난 기재부
  • 오늘의 상승종목

  • 07.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1,508,000
    • +1.02%
    • 이더리움
    • 4,321,000
    • +6.19%
    • 비트코인 캐시
    • 680,500
    • +2.33%
    • 리플
    • 4,015
    • +2.98%
    • 솔라나
    • 224,500
    • +3.12%
    • 에이다
    • 1,019
    • +3.24%
    • 트론
    • 413
    • +1.23%
    • 스텔라루멘
    • 631
    • +3.4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680
    • +15.6%
    • 체인링크
    • 22,390
    • +6.26%
    • 샌드박스
    • 428
    • +4.6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