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지수 조사 결과 농축산물은 전년대비 0.6% 하락(전월대비 3.0%)해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농림축산식품부는 폭우와 폭염 등 기상재해로 농작물 생육에 부정적 영향이 나타날 수 있는 여름철을 앞두고 선제 생산·공급 안정대책을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우선 채소류는 배추·무 봄작형 생산량 증가, 양파·마늘 2025년산 공급량 증가 등으로 6월에도 안정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다만, 7~10월까지 출하하는 여름배추는 폭염 등 기상 여건에 따라 작황이 급격하게 변동하는 특징이 있으며 올해는 파종·정식기(5월~6월) 낮은 가격과 고랭지지역 기온 상승으로 재배(의향)면적이 지난해보다 9% 정도 감소해 8월~9월 시장 공급량 감소 폭이 커질 우려가 있다.
이에 농식품부는 8~9월에 출하 가능한 물량을 추가로 심는 농가를 대상으로 수매계약을 미리 체결해 약 4000톤의 추가 물량을 확보하고 예비묘 250만 주를 확보해 기상재해, 병해충 피해 등 비상 상황 발생 시 신속히 다시 심을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생산이 증가한 봄배추 등을 이용해 정부 가용물량을 역대 최대 규모로 비축(배추 2만3000톤, 무 7500톤)해 수급 불안기 및 추석 성수기 등에 공급한다.
관련 뉴스
생산량이 증가해 가격이 하락한 양파는 시장격리(3만 톤), 생산자 중심 품질 관리(4000톤), 출하 연기(5000톤), 수출지원 등을 통해 시장 공급량을 관리해 가격을 안정시킨다. 농식품부는 함양군, 농협경제지주 및 함양농협과 협력해 작년 국내 전체 수출량보다 2배 이상 증가(연산 기준)한 100톤을 대만에 수출할 예정이며 추가 400톤을 협의 중이다.
과일류는 2024년산 저장물량 분산출하 등으로 안정적인 공급상황을 유지하고 있다. 산불로 직접 피해를 본 사과 재배면적은 473ha로 전국 재배면적의 1.4% 수준이고 저온 등 기상재해에 의한 피해도 평년보다 미미해 착과 등 생육상황을 고려할 때 평년 수준의 생산량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우박 피해 등으로 상품(上品) 비율이 다소 감소할 우려가 있다.
농식품부는 추가로 발생할 수 있는 기상재해에 대비해 생육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수세·적과 지도 등 현장기술지도를 통해 품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축산물은 지난해 공급 과잉 및 할인 지원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가격이 상승했으나 수급 상황은 대체로 양호한 수준이다. 올해 5월 한우 소비자가격(등심 1등급)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상승했으나 평년보다는 여전히 낮고 돼지고기는 환율 상승 등으로 올해 1분기 수입이 감소하면서 도매가격이 다소 높지만, 하반기에는 공급이 늘어 가격이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닭고기는 수입업체가 2~3개월분 재고량을 보유하고 있어 브라질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에 따른 국내 수급 영향은 제한적인 상황이다. 계란은 3월 하순부터 산란계의 소모성 질병 발생으로 인해 생산성이 하락해 가격이 올랐으나 6월에는 생산성이 회복돼 하루평균 계란 생산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농식품부는 브라질 내 고병원성 AI 미발생 지역산 닭고기에 대한 수입 허용 절차를 신속히 하고 태국 등 대체 수입선을 확보하는 한편, 병아리 입식 확대, 종계 생산주령 연장 등 국내산 닭고기 공급을 늘리기 위한 대책도 적극 추진한다.
아울러 추가경정예산 편성으로 확보한 정부할인지원 예산(총액 2280억 원)을 활용해 여름 휴가철, 추석 등 농축산물 구매 성수기에 집중 지원하고 전통시장, 슈퍼마켓 등을 이용하는 소비자도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6월까지는 현재의 공급안정 기조가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며 “여름철을 앞두고 기상재해 등 리스크 요인별 관리를 강화해 농축산물의 안정적인 공급이 지속할 수 있도록 가용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