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5G ·6G 이동통신 표준 단체 3GPP 의장단 2석 신규 배출

입력 2025-05-23 10: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삼성리서치 라자벨ㆍ리샹 연구원 신임 당선

▲삼성리서치 인도 벵갈루루연구소 라자벨 연구원과 삼성리서치 중국 베이징연구소 리샹 연구원 (사진-삼성전자 뉴스룸)
▲삼성리서치 인도 벵갈루루연구소 라자벨 연구원과 삼성리서치 중국 베이징연구소 리샹 연구원 (사진-삼성전자 뉴스룸)

삼성전자가 이동 통신 기술 표준 규격을 정립하는 단체인 3GPP 내 기술분과에서 의장 1명과 부의장 1명을 동시에 배출했다.

3GPP는 1998년에 설립된 이동 통신 표준화 기술협력 기구로, 삼성전자를 비롯해 퀄컴, 애플, 에릭슨, 노키아, 화웨이 등 전 세계 주요 국가의 이동 통신 관련 기업과 단체들이 참여해 이동 통신 표준 정립을 주도해 오고 있다.

3GPP에는 △서비스·시스템(SA) △무선접속망(RAN) △핵심망·단말(CT) 등 총 3개의 기술표준그룹(TSG)이 있으며 기술표준그룹 산하에 4~6개씩, 총 15개의 기술분과(WG)로 구성돼 있다.

삼성리서치 인도 벵갈루루연구소의 라자벨 연구원이 ‘서비스·시스템 기술분과 3(SA WG3)’의 의장으로 삼성리서치 중국 베이징연구소의 리샹 연구원이 ‘무선 접속망 기술분과 3(RAN WG3)’의 부의장으로 신규 선임됐다. SA WG3는 이동통신망의 보안과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 표준을 정의하고, RAN WG3는 기지국 연동 프로토콜 기술을 개발하는 분과다.

앞서 3월에 삼성리서치의 김윤선 마스터가 3GPP에서 물리계층, 무선 프로토콜, 주파수 활용 등 무선 기술 전 분야의 표준화를 총괄하는 무선접속망 기술표준그룹 총회(TSG RAN)의 의장으로 선임된 바 있다.

이로써 삼성전자는 3GPP에서 의장 3석(SA WG2, SA WG3, TSG RAN), 부의장 5석(SA WG4, SA WG6, RAN WG2, RAN WG3, CT WG3)을 확보했다.

3GPP는 올해 하반기부터 6G 연구에 본격적으로 착수한다. 삼성전자가 의장으로 신규 선임된 SA WG3에서는 양자컴퓨터를 이용한 해킹 등 다양한 유형의 공격에 대비한 보안 기술이나 이동통신망에서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프라이버시 침해 방지 기술 도입을 연구할 예정이다.

또한 부의장으로 신규 선임된 RAN WG3에서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해 기지국의 에너지 소모를 줄이거나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는 기술 등을 연구할 것으로 전망된다. 6G에서 강조하고 있는 AI 활용, 보안 강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술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분과들이다.

삼성전자는 이번에 확보한 의장단을 포함해 이동 통신 전 영역에 걸쳐 기술 표준화를 주도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했으며 6G 기술 표준화가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이동통신업계 및 단체들과 협력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글로벌 청년실업] 세계 청년들의 좌절…일자리가 없다
  • “GPU 5만 장 확보” 현실성 있나…이재명式 AI 인프라 공약 뜯어보니 [위기의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 '관세폭탄'에 美 재고 바닥⋯현대차ㆍ기아 차값 인상 불가피
  • 트럼프 “미국, 이스라엘-이란 분쟁 개입할 수도 있어”
  • 우크라이나, 러시아 드론 공장 공격…러시아도 정유소 공격
  • “메모리ㆍ기판 소비전력 낮춰라”⋯반도체 기업도 기술 개발 박차 [데이터센터 '양날의 검' 上]
  • 美서 힘 빠진 태양광, 소재ㆍ재활용 신사업 확장
  • 부동산 정리 나서는 은행권…자산효율화 '고삐'
  • 오늘의 상승종목

  • 06.16 13:1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227,000
    • -0.11%
    • 이더리움
    • 3,546,000
    • +0.85%
    • 비트코인 캐시
    • 632,500
    • +4.2%
    • 리플
    • 3,001
    • +0.4%
    • 솔라나
    • 215,400
    • +6.48%
    • 에이다
    • 880
    • +0.8%
    • 트론
    • 375
    • -0.53%
    • 스텔라루멘
    • 359
    • +0.2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980
    • -0.07%
    • 체인링크
    • 18,470
    • +0.38%
    • 샌드박스
    • 368
    • -0.2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