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관위, 尹 관람한 부정선거 의혹 영화에 "음모론 부추겨…깊은 우려·유감"

입력 2025-05-22 13:5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유튜브 등 제기 의혹 근거 없이 주장"
"우리나라 투·개표 부정 개입 소지 없어"
"모든 과정 공개 위해 부정선거 전담부서 운영"

▲윤석열 전 대통령이 21일 서울 메가박스 동대문에서 다큐멘터리 영화 '부정선거, 신의 작품인가' 관람 도중 계엄령 선포 장면이 나오자 관람객의 박수를 받고 있다. 2025.5.21. (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이 21일 서울 메가박스 동대문에서 다큐멘터리 영화 '부정선거, 신의 작품인가' 관람 도중 계엄령 선포 장면이 나오자 관람객의 박수를 받고 있다. 2025.5.21. (연합뉴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2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관람한 영화 '부정선거, 신의 작품인가'에 대해 "영화에서 다루고 있는 의혹 대부분은 이미 우리 위원회에서 설명하거나 법원의 판결로 해소된 사항임에도 부정적이고 자극적 영상으로 부정선거 음모론을 부추기고 있어 깊은 우려와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선관위는 이날 입장문을 통해 "유튜브 등에서 제기되었던 의혹 등을 명확한 근거 없이 주장하며 '부정선거 폭로의 결정판', '이번 대통령선거도 부정선거를 확신한다'고 말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의 투·개표는 '실물 투표'와 '공개 수작업 개표' 방식으로 진행되며, 정보시스템과 기계 장치 등은 이를 보조하는 수단에 불과하다"며 "모든 선거 과정에는 정당·후보자의 참관인 또는 정당추천 선관위원이 참여하고 있고, 공정성과 보안성을 확보하는 제도적 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그 과정이 투명하게 공개되고 있으므로 부정이 개입될 소지는 전혀 없다"고 설명했다.

선관위는 "부정선거 관련 의혹에 신속히 대응해 왜곡된 정보의 확산을 차단하고 투·개표 등 선거 절차의 모든 과정을 있는 그대로 공개하기 위해 부정선거 의혹 전담부서를 운영하고 있다"며 "선거 불신을 해소한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국민에게 제21대 대선 투·개표 절차의 모든 과정을 보여주기 위해 학회 주도로 구성된 공정선거참관단의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영화, 유튜브 등을 통해 선거에 대한 감정적이고 자극적인 주장이나 정보를 접할 경우 선관위가 배포하는 설명 자료와 공신력 있는 언론에서 보도하는 사실확인 기사를 함께 참고해달라"고 말했다.

앞서 윤 전 대통령은 전날 서울 동대문구의 한 영화관에서 부정선거론을 다룬 영화 '부정선거, 신의 작품인가'를 관람했다. 해당 영화는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와 이영돈 PD가 제작·기획에 참여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방산업체 재취업 러시…2년째 취업제한 ‘0건’ [K-방산, 다음을 묻다②]
  • [체험기] "이게 진짜 폴더블폰 맞아?"… 끝판왕 ‘갤럭시 Z폴드7’
  • "엄청난 밸류" 美서 극찬…'면비디아' 제대로 터졌다
  • 거침없는 코스피에 '시총 3000조' 시대 연 국내 증시
  • 야구 1위·빵의 도시 '대전'…제주 제치고 국내 인기 여행지로 부상 [데이터클립]
  • 단독 "카드 가맹점 매출액 산정 시 세금 제외" 입법 추진⋯카드사, 사면초가
  • "항해는 계속된다"…에이티즈 '재계약'이 독보적인 이유 [엔터로그]
  • 폭염, 생존게임 수준…일사병·열사병 온열질환 구분 체크리스트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7.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0,980,000
    • +1.88%
    • 이더리움
    • 3,766,000
    • +4.55%
    • 비트코인 캐시
    • 686,000
    • -0.8%
    • 리플
    • 3,309
    • +2.86%
    • 솔라나
    • 213,000
    • +1.62%
    • 에이다
    • 849
    • +2.78%
    • 트론
    • 396
    • +1.02%
    • 스텔라루멘
    • 393
    • -0.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34,020
    • +0.62%
    • 체인링크
    • 19,360
    • +1.63%
    • 샌드박스
    • 366
    • +4.5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