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일 기업 6000곳을 대상으로 '사이버 위협 대응 태세 강화'라는 제목의 협조 요청 공문을 보냈다.
과기정통부는 공문을 통해 최근 SKT 해킹에서 발견된 악성코드 12종이 각 사의 정보통신 설비에 잠복해 있지 않은지 보안 점검을 할 것을 요구했다. "최근 사이버 침해 사고와 정치적 상황을 악용한 다양한 사이버 공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게 과기정통부가 공문에서 밝힌 대응 주문의 배경이다.
공문 수신처는 금융업·제조업·전력 및 에너지·문화 콘텐츠·통신사·플랫폼사 등 기업 전 분야를 망라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같은 반도체 기업을 포함해 △삼성 △SK △롯데 △현대차그룹 등의 소속 계열사와 △신한카드 △비바리퍼블리카 등 금융회사가 수신 대상에 포함됐다.
방산 분야에서는 △현대로템 △한화시스템 등이 조선사는 △HD현대미포 △HD한국조선해양 등에 보안 강화 공문을 보냈다. 문화 콘텐츠 분야에서는 △CJ △NHN엔터테인먼트 △넥슨 등에 공문이 발송됐다.
관련 뉴스
SKT 해킹 이후 지난달 25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기업 6000곳을 대상으로 보안 공지를 보낸 바 있으나 과기정통부가 사이버 보안 문제를 한 번 더 강조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공문을 추가 발송한 것으로 보인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대선 전 사이버 보안 거버넌스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유 장관은 9일 열린 브리핑에서 "대선 국면에서 공공, 국방, 민간 어디서든 사이버 침해가 발생하면 대단한 국가적 혼란을 줄 것"이라며 "범국가적인 사이버 보안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한다"고 강조했다.
유 장관은 "우리나라가 가질 수 있는 모든 사이버 보안 시스템을 가동해야 하는데 실제로는 국가정보원을 중심으로 돼 있고 (부처 역할이) 산재해 있다"고 말했다. 그는 SKT 해킹을 계기로 국정원이 관제탑이 되는 민관군 통합 체제를 작동, 대선 기간 사이버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지를 법제처에 유권 해석 요청했다면서 "곧 답을 얻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