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앞두고 제조·방산·조선·에너지업계에 보안 주의령

입력 2025-05-11 14: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게티이미지뱅크 개인정보 유출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개인정보 유출 (게티이미지뱅크)
정보기술(IT) 당국이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기업들에 보안 수위를 한껏 끌어올려 대비할 것을 주문했다. 사이버 공격이 민간 영역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탄핵 이후 대통령 공백 상태에서 맞은 대선 기간, 민간·공공을 아우르는 보안 거버넌스를 강화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일 기업 6000곳을 대상으로 '사이버 위협 대응 태세 강화'라는 제목의 협조 요청 공문을 보냈다.

과기정통부는 공문을 통해 최근 SKT 해킹에서 발견된 악성코드 12종이 각 사의 정보통신 설비에 잠복해 있지 않은지 보안 점검을 할 것을 요구했다. "최근 사이버 침해 사고와 정치적 상황을 악용한 다양한 사이버 공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게 과기정통부가 공문에서 밝힌 대응 주문의 배경이다.

공문 수신처는 금융업·제조업·전력 및 에너지·문화 콘텐츠·통신사·플랫폼사 등 기업 전 분야를 망라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같은 반도체 기업을 포함해 △삼성 △SK △롯데 △현대차그룹 등의 소속 계열사와 △신한카드 △비바리퍼블리카 등 금융회사가 수신 대상에 포함됐다.

방산 분야에서는 △현대로템 △한화시스템 등이 조선사는 △HD현대미포 △HD한국조선해양 등에 보안 강화 공문을 보냈다. 문화 콘텐츠 분야에서는 △CJ △NHN엔터테인먼트 △넥슨 등에 공문이 발송됐다.

SKT 해킹 이후 지난달 25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기업 6000곳을 대상으로 보안 공지를 보낸 바 있으나 과기정통부가 사이버 보안 문제를 한 번 더 강조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공문을 추가 발송한 것으로 보인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대선 전 사이버 보안 거버넌스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유 장관은 9일 열린 브리핑에서 "대선 국면에서 공공, 국방, 민간 어디서든 사이버 침해가 발생하면 대단한 국가적 혼란을 줄 것"이라며 "범국가적인 사이버 보안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한다"고 강조했다.

유 장관은 "우리나라가 가질 수 있는 모든 사이버 보안 시스템을 가동해야 하는데 실제로는 국가정보원을 중심으로 돼 있고 (부처 역할이) 산재해 있다"고 말했다. 그는 SKT 해킹을 계기로 국정원이 관제탑이 되는 민관군 통합 체제를 작동, 대선 기간 사이버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지를 법제처에 유권 해석 요청했다면서 "곧 답을 얻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짝퉁 천국 아니었어?"…Z세대에게 통한 중국의 '새 얼굴' [솔드아웃]
  • 與 새 원내사령탑에 '3선 김병기'…"李성공 뒷받침"
  • [종합] 관세 어려움 토로한 최태원 회장…이재용 회장은 “李 자서전 읽어봤다”
  • 외국인 집주인 1년에 10%씩 늘었다 [외국인 'K 부동산' 쇼핑, 이대로 괜찮나? ①]
  • 외교부, 이스라엘 이란 공습에 “우리 국민 피해 접수 없어”
  • 디지털자산 제도화 속도戰… '혁신-소비자보호' 균형 잡아야[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⑤]
  • '차명 재산 의혹' 오광수 대통령실 민정수석 사의
  • 올 여름 보양식은 '이거' 어떠세요…민물의 왕 '가물치' [레저로그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930,000
    • -1.15%
    • 이더리움
    • 3,515,000
    • -5.97%
    • 비트코인 캐시
    • 596,000
    • -0.67%
    • 리플
    • 2,956
    • -3.62%
    • 솔라나
    • 201,500
    • -6.58%
    • 에이다
    • 877
    • -5.6%
    • 트론
    • 373
    • -0.8%
    • 스텔라루멘
    • 358
    • -4.5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400
    • -1.05%
    • 체인링크
    • 18,220
    • -7.61%
    • 샌드박스
    • 363
    • -5.2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