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글로벌 방산 4대 강국 만들겠다…수출 컨트롤타워 신설”

입력 2025-04-17 10: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재명, K-방산 공약 발표…“방산이 신성장 동력”
“범정부적 지원 강화…수출 기업 R&D 세액 감면”
“"K방산 스타트업 육성…방산 병역특례 확대” 제시

▲설맞이 군장병 격려를 위해 올해 1월 24일 경기 김포시 통진읍 해병2사단 1여단을 찾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장병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설맞이 군장병 격려를 위해 올해 1월 24일 경기 김포시 통진읍 해병2사단 1여단을 찾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장병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17일 대한민국을 세계 4대 방위산업 강국으로 만드는 내용의 K-방산 정책 공약을 내놨다. 방산 수출 컨트롤타워를 신설하는 한편, 방산 수출 기업의 R&D(연구개발) 세액을 감면하고 대통령 주재 방산 수출 진흥전략회의를 정례화하겠다는 비전을 내놨다.

이 후보는 이날 본인의 페이스북에서 “강력한 제조업을 기반으로 AI 첨단기술로 무장한 K-방산이야말로 우리 경제의 저성장 위기를 돌파할 신성장 동력이자, 국부 증진의 중요한 견인차임을 확신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를 위해서는 범정부적 지원체계 강화가 필요하다. 방산수출 컨트롤타워를 신설하고, 대통령 주재 방산수출진흥전략회의를 정례화해야 한다”며 “방산 지원 정책금융 체계를 재편하고, 방산 수출 기업의 R&D 세액을 감면해우리 기업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국방과학연구소가 보유한 원천기술이 적재적소에 활용되는 지원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후보는 "유럽, 중동, 동남아와 인도, 미국과 중남미 등 권역별 특성을 고려한 윈윈 협력 전략을 수립하고 방산 기술 이전과 교육으로 상호 신뢰를 구축해 방산 협력국을 적극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첨단 과학기술에 비례해 빛의 속도로 변화하는 전장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R&D 국가 투자 확대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K방산 스타트업을 육성하고, 방산 병역특례를 확대해 K방산 인재를 적극 양성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그는 "지역의 주력산업과 연구개발 역량을 방산과 융합하는 방산 클러스터를 확대 운영해야 한다"며 "이는 지역균형발전과 글로벌 MRO(유지·보수·정비) 시장 선점의 의미 있는 성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은 이제 ‘모방’에서 ‘주도’로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며 “지능형 강군 건설에 꼭 필요한 AI 기반 게임 체인저 기술개발과 전력화”라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이날 대전 유성구 국방과학연구소(ADD)를 방문할 예정이다. 이 후보는 현장 간담회에 참석해 전문가들과 K-방산 육성 방안을 논의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미국 연준, 기준금리 동결…경제성장률 전망 하향
  • '골때녀' 원더우먼, 구척장신과 승부차기 끝에 역전승⋯마시마 '골키퍼'에서도 선방
  • 은종, 전남편 윤딴딴의 '쌍방폭행' 주장에 반박⋯폭행 정황 담긴 영상 공개
  • '만능'으로 평가받던 아이언돔·애로우…철벽이 뚫린 이유는 [리썰웨폰]
  • 푸틴, UAE대통령과 통화⋯“이란-이스라엘 분쟁 중재 의향”
  • 韓 방산 생태계 재편…HD현대, 한화 대신 ‘LIG 중심’ 공급망
  • 李대통령, 1박4일 G7 일정 마치고 귀국
  • 대법관 늘리고, 국민참여 확대…‘재판받을 권리’ 보장한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198,000
    • -0.27%
    • 이더리움
    • 3,488,000
    • -0.37%
    • 비트코인 캐시
    • 635,500
    • -1.63%
    • 리플
    • 3,002
    • -0.27%
    • 솔라나
    • 202,700
    • -1.65%
    • 에이다
    • 835
    • -2%
    • 트론
    • 379
    • +0.26%
    • 스텔라루멘
    • 348
    • -1.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800
    • -3.39%
    • 체인링크
    • 18,060
    • -0.39%
    • 샌드박스
    • 353
    • -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