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공무원 4명 중 1명, 아직도 '간부 식사' 모신다

입력 2025-01-16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행안부·인혁차, '간부 모시는 날' 실태조사 분석 결과 발표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4명 중 1명은 사비로 간부에게 식사를 대접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행정안전부와 인사혁신처는 17일 ‘간부 모시는 날’ 실태조사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간부 모시는 날은 직원들이 순번을 정해 간부에게 식사를 대접하는 관행을 의미한다. 행안부와 인혁처는 지난해 11월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15만4317명(중앙 6만4958명, 지방 8만9349명)을 대상으로 ‘e사람(중앙)’ 및 ‘인사랑(지방)’ 시스템을 통해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분석 결과, 전체 응답자의 18.1%가 최근 1년 내 간부 모시는 날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중앙 공무원의 경험률은 10.1%에 불과했으나, 지방 공무원의 경험률은 23.9%에 달했다. 중앙 공무원은 10명 중 1명, 지방 공무원은 4명 중 1명꼴로 간부의 식사를 챙기고 있었다.

간부 모시는 날 경험 빈도는 월 1~2회(중앙 46.1%, 지방 45.9%)가 가장 많았다. 간부 직급은 부서장(과장급)이 57.0%(중앙 61.5%, 지방 55.8%)로 절반을 넘었다. 국장급이 33.6%(중앙 24.6%, 지방 36.0%)로 2위를 차지했다. 간부 모시는 날이 지속하는 원인은 소속 기관별로 차이를 보였다. 중앙은 ‘간부가 인사 및 성과평가 등의 주체이기 때문(37.7%)’이라는 응답이 1위였으나, 지방은 ‘기존부터 지속하던 관행이기 때문(지방 40.7%)’이라는 응답이 1위였다.

응답자의 91.0%는 간부 모시는 날이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다만, 지방 공무원은 간부 모시는 날 근절 필요성(87.9%)을 상대적으로 덜 인식했다. 간부 모시는 날 근절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으로는 중앙·지방 공무원 모두 ‘간부 공무원의 인식 개선(각각 34.6%, 39.6%)’을 꼽았다. 이어 ‘기관장의 강한 의지’, ‘간부-직원 간 건전한 대화와 소통 기회 확대’ 순이었다.

한편, 이번 분석 결과와 관련해 행안부와 인혁처, 국민권익위원회는 이날 중앙·지방 조직문화 담당부서를 대상으로 대책회의를 열었다. 정부는 간부 모시는 날을 신속하게 근절하기 위해 기관장 등 간부들의 인식개선을 추진하고, 계도기간을 거쳐서 실태조사를 재실시할 계획이다. 더불어 저연차 공무원들로 구성된 범정부 조직문화 혁신모임인 ‘조직문화 새로고침(F5)’ 구성원들이 직접 선정한 ‘조직문화 혁신 10대 권고사항’을 안내해 이행하도록 할 예정이다.

황명석 행안부 정부혁신국장은 “이번 실태조사로 간부 모시는 날이 아직도 일부 조직에 관행처럼 남아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며 “관계기관과 함께 현시점에 맞지 않는 잘못된 관행을 적극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자료=행정안전부)
(자료=행정안전부)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사망사고까지…싱크홀, 도대체 왜 발생하는 걸까? [해시태그]
  • 퇴직자·임직원 짜고 882억 부당대출…은행 대형비리 또 터졌다
  • '위기 속 빛난 이순신 리더십' 韓 기업 최초 2기 백악관 뚫은 정의선
  • 성장이냐 상품화냐…'언더피프틴'이 던진 물음표 [이슈크래커]
  • ‘1주년’ 맞은 아일릿 “힘든 일 많았지만, 함께여서 버틸 수 있었죠” [일문일답]
  • 영남권 중심으로 거세게 이어지는 산불…종합 피해 상황은? [이슈크래커]
  • 코인 묵히면서 벌자…파이 늘리고 싶은데 '파밍' 참여 망설였다면 [코인가이드]
  • "방송만 잘하는 게 아니네"…예능계 대표 MC 신동엽이 사는 '아크로리버파크'는 [왁자집껄]
  • 오늘의 상승종목

  • 03.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7,915,000
    • -0.48%
    • 이더리움
    • 3,040,000
    • -1.04%
    • 비트코인 캐시
    • 485,400
    • -0.35%
    • 리플
    • 3,584
    • -0.8%
    • 솔라나
    • 207,400
    • +0.78%
    • 에이다
    • 1,097
    • +2.33%
    • 이오스
    • 855
    • +1.42%
    • 트론
    • 336
    • +0%
    • 스텔라루멘
    • 430
    • +1.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800
    • +0.58%
    • 체인링크
    • 22,550
    • +1.3%
    • 샌드박스
    • 445
    • +0.4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