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항암제도 피하주사 개발 경쟁…K바이오 속도낸다

입력 2025-01-07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5-01-06 17:0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BMS ‘옵디보’, FDA 허가…로슈 이어 두 번째
피하주사, 투약 편의성 높이고 특허 회피 가능
국내는 알테오젠, 머크와 ‘키트루다SC’ 공동개발
지아이이노베이션은 ‘GI-102’ SC 임상 1상 개시

(그래픽=신미영 기자 win8226@)
(그래픽=신미영 기자 win8226@)

글로벌 제약사가 개발한 피하주사(SC) 면역항암제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가 잇따르고 있다. 기존 정맥주사(IV)보다 편의성이 높고, 신약 특허를 회피할 수 있어서다. 다수 글로벌 제약사와 국내 바이오기업도 SC제형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6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최근 글로벌 제약사 브리스톨마이어스스퀴브(BMS)는 FDA로부터 면역관문억제제 옵디보 SC제형 허가를 받았다. 피하주사 면역항암제가 FDA 허가를 받은 건 작년 9월 로슈의 PD-L1 억제제 티센트릭 SC제형 이후 두 번째다.

글로벌 제약사가 SC제형 개발에 힘쓰는 이유는 편의성과 특허 회피성 때문이다. SC제형은 기존 IV제형과 달리 피부에 쉽고 간편하게 투여할 수 있으며 투약 시간이 짧다.

실제로 기존 옵디보는 투여받는 데 30분이 걸리지만 옵디보SC는 3~5분 수준으로 짧다. 티센트릭SC 투여 시간은 약 7분이다. 또 블록버스터 의약품의 특허 만료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제형 변경을 통해 신약의 지위도 유지할 수 있어 수익 안정화 전략으로도 활용된다.

BMS와 로슈가 SC제형을 먼저 시장에 선보인 가운데 글로벌 및 국내 기업도 SC제형 면역항암제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얀센은 면역항암제 리브리반트의 SC제형 임상 3상 후 FDA에 허가를 신청했다. 얀센은 지난해 열린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리브리반트SC를 투여한 환자의 생존율이 51%에서 65%로 상승한 것을 확인했다.

알테오젠은 머크와 글로벌 매출 1위 의약품 키트루다SC 개발을 위해 임상 3상을 진행하고 있다. 머크는 알테오젠이 개발한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원천 기술(ALT-B4)을 활용한다. 양사는 지난해 2월 기존 비독점 계약을 독점으로 변경했다.

지아이이노베이션은 지난달 면역항암제 ‘GI-102’의 SC 임상 1상 첫 환자 투약을 지난해 12월부터 국내외 14개 의료기관에서 시작했다. 회사 관계자는 “기존 IV에서 GI-102는 모든 표준치료에 실패한 전이성 흑색종 환자에서 단독요법 만으로 30%의 객관적 반응률을 보였다”며 “피부암인 흑색종은 SC 투여 시 항암 활성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따.

바이오업계 한 관계자는 “SC제형 개발이 활기를 띠며 기존 IV가 SC로 전환되고, 향후 SC제형 면역항암제가 글로벌 치료 패러다임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면역관문억제제를 많이 사용하지 않았던 의료 현장에서도 변화를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근로자이지만 근로자가 아니라는 ‘근로자의 날’ 이야기 [해시태그]
  • 단독 SKT 해킹에 금융당국, 개인정보 배상책임보험 보장 한도 상향 검토
  • 비트코인, 일시 조정국면에도…전문가 "현 상황은 우호적" [Bit코인]
  • [종합] 검찰, ‘尹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 [종합] 삼성전자, 1분기 최대 매출 79조…갤럭시S25 잘 팔려 선방
  • '4연승' 한화 와이스도 예외없는 '성심당 웨이팅'…목격짤 퍼졌다
  • K-조선소 둘러보는 美해군성 장관…삼성중공업 빠진 이유는
  • [날씨] "외투 가볍게 걸치세요"…낮 최고 28도 전국 초여름 더위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236,000
    • -0.38%
    • 이더리움
    • 2,589,000
    • -1.52%
    • 비트코인 캐시
    • 521,500
    • -2.52%
    • 리플
    • 3,204
    • -2.85%
    • 솔라나
    • 210,700
    • -1.68%
    • 에이다
    • 1,001
    • -2.53%
    • 이오스
    • 988
    • -1.1%
    • 트론
    • 352
    • -1.12%
    • 스텔라루멘
    • 398
    • -2.2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750
    • -4.78%
    • 체인링크
    • 20,900
    • -4.26%
    • 샌드박스
    • 419
    • -4.3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