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작년 정부 차입 550조 원 달해
“어려울 때 정부가 도우니 돈 많이 번 기업·개인 기여 필요”

3일(현지시간) CNN방송에 따르면 리시 수낙 영국 재무장관은 이날 하원에서 현행 19%인 법인세율을 2023년부터 25%로 인상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650억 파운드(약 102조 원) 규모의 코로나19 추가 예산안을 보고하며 “너무 빨리 지원을 철회하는 것이 무책임한 것처럼, 미래의 부채를 견제하지 않은 채 내버려 두는 것도 무책임하다”고 인상 취지를 설명했다.
영국은 2008년만 해도 법인세율이 30%에 달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과 투자 유치 등을 점진적으로 세율을 낮췄다. 그러나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막대한 돈을 쏟아부으면서 정책 방향을 바꾸기로 한 것이다.
다만 영국 정부는 기업의 10%만이 25% 세율을 적용받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간 순이익이 25만 파운드 이상인 회사에 최고 세율이 적용된다. 순익이 5만 파운드 이하인 기업은 현행 19%의 법인세율이 적용된다.
개인을 대상으로 한 소득세는 공제를 2026년까지 동결하는 방식으로 과세 대상과 세액을 늘릴 계획이다. 이렇게 하면 세율을 손대지 않으면서도 130만 명이 추가로 소득세를 내게 된다.
관련 뉴스
기업들은 법인세 인상이 경쟁력을 떨어뜨려 경제 회복을 늦출 수 있다고 반발했다. 영국 최대 재계 로비 단체인 영국산업연맹(CBI)의 토니 댄커 국장은 “법인세를 한 번에 25%로 올리면 많은 기업의 숨통이 막히고, 영국에 투자할 계획이 있는 사람들이 망설일 것”이라고 비판했다. 런던 금융계를 대변하는 로비 단체 더시티UK의 마일스 셀릭 최고경영자(CEO)는 “영국은 경쟁이 치열한 글로벌 환경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며 “법인세 인상은 영국의 세금 정책을 단순화하려는 노력과 발맞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영국 정부가 기업의 반발에도 법인세 인상에 나서는 것은 그만큼 부채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2020·21 회계연도(작년 4월~올해 3월) 영국 정부의 차입은 3550억 파운드(약 552조 원)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17% 수준이고, 2021·22 회계연도에도 차입이 2340억 파운드로 GDP의 10.3%에 달할 예정이다. 영국 정부 총부채는 올해 GDP 대비 88.8%에 이르고 2023·2024 회계연도에는 97.1%로 최고조에 다다를 전망이다.
지난해 유럽연합(EU)과의 브렉시트 전환 기간이 끝나 완전히 EU를 탈퇴한 것도 경기 회복을 비관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수낙 장관은 “부채를 갚는 것은 향후 수십 년 간 정부에 가장 큰 부담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경기 회복을 위해 어떤 일도 하겠다”며 “어려울 때 정부가 도우니 돈을 많이 번 기업과 개인이 부채 상환에 이바지하는 것이 필요하고 공평하다”고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