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美 전장업체 ‘하만’ 9.4조에 인수… 韓기업 M&A 사상 최대 규모

입력 2016-11-14 16:12 수정 2016-11-15 15: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삼성전자가 신성장 분야인 전장 사업을 본격화하고 오디오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미국의 전장전문기업 하만(Harman)을 전격 인수한다.

삼성전자는 14일 이사회에서 커넥티드카(Connected Car)와 오디오 분야 전문기업인 하만 인수를 의결했다. 인수 가격은 주당 112달러, 인수 총액은 80억 달러(약 9조4000억 원)다. 이는 국내 기업의 해외기업 인수ㆍ합병(M&A) 사상 최대 규모다.

삼성전자는 이번 하만 인수를 통해 연평균 9%의 고속 성장을 하는 커넥티드카용 전장시장에서 글로벌 선두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하만은 커넥티드카용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텔레매틱스(Telematics), 보안, OTA(무선통신을 이용한 SW 업그레이드) 솔루션 등의 전장 사업 분야 글로벌 선두 기업이다. 매출은 70억 달러, 영업이익은 7억 달러(직전 12개월 기준)에 달한다.

매출 중 65%가 전장 사업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커넥티드카와 카 오디오 사업은 연매출의 약 6배에 달하는 240억 달러 규모의 수주 잔고를 보유하고 있을 정도로 자동차 전장 업계에서 경쟁력을 인정 받고 있다.

하만은 또한 JBL, 하만카돈(Harman Kardon), 마크레빈슨(Mark Levinson), AKG 등 프리미엄 오디오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카 오디오에서는 이외에도 뱅앤올룹슨(B&O), 바우어앤윌킨스(B&W) 등의 브랜드를 보유하며 전 세계 시장점유율 41%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5G통신ㆍOLEDㆍ인공지능(AI)ㆍ음성인식 등 부품 및 UX 기술과 모바일, 가전 부문에서 축적한 소비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만의 전장 사업 노하우와 결합함으로써 혁신적인 제품을 보다 빨리 시장에 내놓을 수 있게 됐다.

또한, 삼성전자는 세계 1위를 유지하고 있는 TV와 스마트폰은 물론 VR, 웨어러블 등 각종 제품에 하만의 음향기술과 프리미엄 브랜드를 적용해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계획이다.

삼성전자 권오현 부회장은 “하만이 보유한 전장 사업 노하우와 방대한 고객 네트워크에 삼성의 IT와 모바일 기술, 부품사업 역량을 결합해 커넥티드카 분야의 새로운 플랫폼을 주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통령실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 안해"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세계증시 랠리서 韓만 소외 [불붙은 세계증시, 한국증시는 뒷걸음 왜]①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우주굴기’ 중요한 이정표 세워…달 뒷면에 목메는 이유는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넘버2 엔진 시비어 데미지!”…이스타항공 훈련 현장을 가다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567,000
    • +0.86%
    • 이더리움
    • 5,317,000
    • -0.21%
    • 비트코인 캐시
    • 645,000
    • +0%
    • 리플
    • 726
    • -0.27%
    • 솔라나
    • 231,600
    • -1.03%
    • 에이다
    • 632
    • +0.48%
    • 이오스
    • 1,139
    • +0.09%
    • 트론
    • 161
    • +2.55%
    • 스텔라루멘
    • 148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450
    • -0.18%
    • 체인링크
    • 25,820
    • -0.46%
    • 샌드박스
    • 628
    • +3.1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