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제마진, 손익분기점 드디어 넘었다"…정유사들 시황회복 기대

입력 2019-07-09 15: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7월 첫째주 정제마진 배럴 당 6달러…전주 대비 2.1달러 상승

▲SK이노베이션 울산콤플렉스(CLX)(사진 제공=SK이노베이션)
▲SK이노베이션 울산콤플렉스(CLX)(사진 제공=SK이노베이션)

정유사의 실적 바로미터로 불리는 정제마진이 올해 처음으로 6달러대에 진입하면서 시황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모아지고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이달 첫째 주 싱가포르 복합정제마진은 배럴 당 6달러로 전주 대비 2.1달러 상승했다.

정제마진은 석유제품 판매 가격에서 원료비(원유 값)를 뺀 수치다.

국내에서는 통상 4~5달러를 손익분기점으로 보고 있는데, 정제마진이 이보다 낮으면 정유사들은 휘발유 등을 팔수록 손해를 보게 된다.

문제는 올해 상반기 내내 정제마진이 손익분기점을 넘어선 적이 없다는 것이다.

가장 정제마진이 높았던 3월 마지막 주에도 정제마진은 배럴 당 4.9달러를 기록, 배럴당 5달러의 벽을 넘어서진 못했다.

그러나 하반기의 시작인 7월 첫째주부터 정제마진이 갑작스럽게 급등했다.

정제마진 회복의 원인으로는 공급량 감소와 드라이빙 시즌 도래에 따른 수요 상승이 꼽히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정유사 가동률 조정에 대한 석유제품 공급 축소와 7~8월 드라이빙 시즌에 따른 마진 개선이 전망되며 큰 폭으로 상승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정유업계에서는 하반기 시황 회복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상반기 정제마진 약세로 실적이 부진했지만, 하반기에는 국제해사기구의 선박 연료 황 함량규제(IMO 2020) 기대감 및 드라이빙 시즌 도래로 정제마진 개선에 따른 실적회복이 기대된다”며 “미·중 무역분쟁 완화 등 수요회복 조짐도 보이는 만큼 하반기 우호적인 시황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지난주 마진 상승이 고무적이긴 하지만, 냉정하게는 현재 경제 여건이 크게 개선됐다고는 보기 어렵다”며 “이런 분위기가 계속되길 바라고는 있으나 시간을 두고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진단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종합] "대중교통 요금 20% 환급"...K-패스 24일부터 발급
  • '빅테크 혼조'에 흔들린 비트코인, 변동성 확대…솔라나도 한때 7% 급락 [Bit코인]
  • "빈껍데기 된 어도어, 적당한 가격에 매각" 계획에 민희진 "대박"
  • '범죄도시4' 개봉 2일째 100만 돌파…올해 최고 흥행속도
  • “안갯속 경기 전망에도 투자의 정도(正道)는 있다”…이투데이 ‘2024 프리미엄 투자 세미나’
  • "한 달 구독료=커피 한 잔 가격이라더니"…구독플레이션에 고객만 '봉' 되나 [이슈크래커]
  • 단독 교육부, 2026학년도 의대 증원은 ‘2000명’ 쐐기…대학에 공문
  • 양현종, '통산 170승' 대기록 이룰까…한화는 4연패 탈출 사력 [프로야구 25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13:2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690,000
    • -3.29%
    • 이더리움
    • 4,532,000
    • -2.71%
    • 비트코인 캐시
    • 688,000
    • -5.62%
    • 리플
    • 756
    • -4.06%
    • 솔라나
    • 210,600
    • -6.9%
    • 에이다
    • 680
    • -5.69%
    • 이오스
    • 1,307
    • +7.31%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63
    • -4.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97,000
    • -5.92%
    • 체인링크
    • 21,030
    • -4.63%
    • 샌드박스
    • 660
    • -6.6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