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디스플레이, 올해 프리미엄 제품으로 수익 극대화 주력

입력 2018-02-20 09:34 수정 2018-02-20 09: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삼성디스플레이 아산캠퍼스 전경. 사진제공=삼성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 아산캠퍼스 전경. 사진제공=삼성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 플렉서블OLED. 사진제공=삼성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 플렉서블OLED. 사진제공=삼성디스플레이
▲모델이 65인치 프레임리스 LCDTV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디스플레이
▲모델이 65인치 프레임리스 LCDTV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가 2018년에도 프리미엄 디스플레이 패널로 수익성 극대화에 나선다.

올해 디스플레이 시장은 글로벌 업체들의 공급 확대에 따른 경쟁심화와 그에 따른 패널 가격하락으로 디스플레이 업체들의 수익성 약화가 우려되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굴기’를 외치며 수년간 OLED(유기발광다이오드)와 LCD(액정표시장치)라인 투자를 확대해온 중국업체들이 초대형 LCD와 플렉시블 OLED 패널을 올해부터 본격 양산할 예정이다.

이에 삼성디스플레이는 OLED 시장은 플래그십 스마트폰용 패널의 판매비중을 확대하고 고객 포트폴리오 넓혀 하이엔드 시장의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LCD는 55인치 이상 초대형, UHD급 고해상도 고부가가치 TV 패널을 중심으로 수익성 확대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특히 올해 스마트폰 시장에서 OLED의 점유율은 하이엔드 제품군은 물론 미드엔드급에서도 가파르게 상승할 것으로 관측된다. 시장조사기관 IHS마킷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전세계 9인치 이하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삼성디스플레이는 34.1%로 압도적 1위를 달성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연평균 20% 이상 고속 성장하고 있는 스마트폰용 OLED 시장에서 97.8%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올해 스마트폰 시장은 OLED를 채택한 프리미엄 제품이 잇따라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베젤을 최소화한 풀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플렉시블 제품에 이어 리지드 제품까지 확대하며 하이엔드를 넘어 미드엔드까지 디자인 변화를 이끌 예정이다. 또 폴더블, 오토모티브, 태블릿, 노트북 등 IT 제품까지 스마트폰을 넘어 다양한 신규 응용제품으로까지 역량을 확대해 신성장 동력에 나설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법정상속분 ‘유류분’ 47년만에 손질 불가피…헌재, 입법 개선 명령
  • 2024 호텔 망고빙수 가격 총 정리 [그래픽 스토리]
  • "뉴진스 멤버들 전화해 20분간 울었다"…민희진 기자회견, 억울함 호소
  • "아일릿, 뉴진스 '이미지' 베꼈다?"…민희진 이례적 주장, 업계 판단 어떨까 [이슈크래커]
  • “안갯속 경기 전망에도 투자의 정도(正道)는 있다”…이투데이 ‘2024 프리미엄 투자 세미나’
  • "한 달 구독료=커피 한 잔 가격이라더니"…구독플레이션에 고객만 '봉' 되나 [이슈크래커]
  • 단독 교육부, 2026학년도 의대 증원은 ‘2000명’ 쐐기…대학에 공문
  • "8000원에 입장했더니 1500만 원 혜택"…프로야구 기념구 이모저모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927,000
    • -0.08%
    • 이더리움
    • 4,545,000
    • +0.09%
    • 비트코인 캐시
    • 688,500
    • -0.58%
    • 리플
    • 756
    • -0.53%
    • 솔라나
    • 209,400
    • -1.37%
    • 에이다
    • 679
    • -0.88%
    • 이오스
    • 1,216
    • +2.27%
    • 트론
    • 168
    • +2.44%
    • 스텔라루멘
    • 164
    • -0.61%
    • 비트코인에스브이
    • 96,200
    • -2.19%
    • 체인링크
    • 21,000
    • +0.24%
    • 샌드박스
    • 667
    • -0.4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