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ㆍ산자부, 4차산업 위해 3000억 펀드 조성

입력 2017-01-19 14: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4월 운용사 선정…연내 펀드 결성 마무리

정부가 4차 산업 투자를 확대시키고 새로운 비즈니스를 발굴하기 위해 3000억 원 규모의 정책 펀드를 조성한다. 오는 4월 펀드 운용사 선정 등 연말에 펀드 결성을 마칠 계획이다.

금융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신사업 비즈니스에 투자하기 위해 500억 원 규모의 중소ㆍ벤처펀드 2개와 2000억 원 규모의 PE펀드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이번 펀드는 산업부와 금융위가 적극적으로 참여해 정부와 금융권의 투자재원을 공동으로 조성하는 대형펀드다.

펀드 규모는 총 3000억 원이다. 자금은 산업부 100억 원, 산업은행 900억 원, 성장사다리 400억 원, 기업은행 등 기타기관 100억 원, 민간매칭 1500억 원으로 조성된다.

펀드 출자공고는 이달 중에 낸 뒤, 4월 운용사를 선정할 예정이다. 이후 민간 출자자를 모집해 연내에 펀드 결성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펀드의 주요 투자 대상은 최근 정부가 발표한 주요 신산업 분야 기업이다. 민간에서 자발적으로 정책목적의 투자를 발굴하도록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예정이다.

정부는 앞서 바이오헬스, IoT가전, 로봇 등 신산업을 발표하고 신성장 분야의 공동기준을 9대 테마, 45개 분야, 275개로 선정했다. 이 기준에 따라 신성장 산업 지원을 받게 된다.

중소ㆍ벤처펀드는 운용사가 '투자용 TCB 평가'를 활용해 우수기업을 발굴하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다. TCB란 기존의 신용평가 위주의 기업대출에 기술평가를 반영해 우수 기술기업 및 초기 기업 지원을 확대하는 제도다. 금융위는 이를 통해 기술금융도 확산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PE펀드(신산업중견ㆍ대기업 펀드)는 사업재편을 위한 M&A, Buy R&D 및 신산업 관련 프로젝트 등 다양한 유형의 신산업 분야 투자를 유도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지급할 예정이다.

산은 관계자는 "펀드 조성 시 프로젝트로 한정하지 않는 등 제한을 대폭 완화하며 기업과 민간에 실질적인 투자 유인을 주려고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금융위원회는 “이번 펀드는 예산과 정책금융기관 자금을 결합하여 마중물 역할을 하고, 민간자금 참여와 미래 신성장 분야 지원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신성장 지원체계를 활용하여 조성한 것"이라며 "앞으로 정책펀드를 조성하는데 모범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일릿 카피 때문" 민희진 주장 반박한 하이브 CEO…전사 이메일 돌렸다
  • 임영웅·아이유·손흥민…'억' 소리 나는 스타마케팅의 '명암' [이슈크래커]
  • 중소기업 안 가는 이유요?…"대기업과 월급 2배 차이라서" [데이터클립]
  • 법무부, ‘통장 잔고 위조’ 尹대통령 장모 가석방 보류
  • 윤보미·라도, 8년 열애 인정…"자세한 내용은 사생활 영역"
  • "법인세 감면, 재원 다변화" 긍정적…'부부합산과세'도 도입해야 [인구절벽 정책제언①-2]
  • 단독 삼성전자 엄대현 법무실 부사장, 이례적 ‘원포인트’ 사장 승진
  • '최강야구' 출신 황영묵, 프로데뷔 후 첫 홈런포 터트렸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4.24 09:2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907,000
    • -1.17%
    • 이더리움
    • 4,637,000
    • -0.39%
    • 비트코인 캐시
    • 725,500
    • -4.1%
    • 리플
    • 782
    • -3.22%
    • 솔라나
    • 223,900
    • -2.31%
    • 에이다
    • 721
    • -3.99%
    • 이오스
    • 1,205
    • -2.27%
    • 트론
    • 163
    • -0.61%
    • 스텔라루멘
    • 169
    • -1.74%
    • 비트코인에스브이
    • 101,900
    • -2.95%
    • 체인링크
    • 21,890
    • -2.75%
    • 샌드박스
    • 701
    • -1.8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