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한해 수수료만으로 2000억 수입

입력 2015-05-25 14: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시중에 주요은행들이 ATM·CD기와 인터넷·모바일뱅킹 출금·송금 수수료만으로 한해 2천억원이 넘는 수입을 거둔 것으로 25일 밝혀졌다.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신학용 의원은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시중은행 수수료 수입 현황’ 자료를 통해 지난해 국민·신한·우리·하나·외환·SC·씨티은행 등 7대 시중은행의 출금·송금 수수료 수입이 2165억원에 달했고 밝혔다. 이는 2013년의 2107억원에서 2.7% 증가한 금액이다.

하지만 시중은행들이 은행권 전체로 수조원의 수익을 벌어들이는 가운데 수수료로도 매년 2000억원 이상을 벌어들이는 데에 대한 시선은 곱지 못하다. 신 의원에 따르면 11개 은행 지주사의 순이익이 2013년 3조938억원에서 지난해 6조1449억원으로 2배 이상 수준으로 늘었다. 신한지주의 지난 한 해 동안 2조824억원, KB지주는 1조2330억원, 하나지주는 9126억원, 농협은 6499억원의 순이익을 벌어들인 바 있다.

수수료 측면에서 은행들이 가장 큰 돈을 벌어들이는 부분은 ATM·CD기다. 7대 시중은행은 ATM·CD기에서 출금 수수료로 지난해 691억원을, 송금수수료로 563억원을 벌었다. 인터넷뱅킹과 모바일뱅킹 상의 송금수수료로 477억원, 173억원을 벌어들였고, 폰뱅킹 송금수수료로 120억원을 수입을 기록했다. 은행 창구를 통한 송금 수수료는 137억원에 달한다.

은행별로는 국민은행의 지난해 수수료 수입이 639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우리은행이 513억원, 신한은행이 483억원, 하나은행이 294억원, 외환은행 145억원, SC은행 74억원, 씨티은행 14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은행들이 ATM기의 운영비가 운영수입보다 많다며 줄이고 있다는 것이다. 올해 4월 기준 국민·신한·하나·외환·우리·농협 등 시중 6개 은행의 ATM 3만6325개로 1년전보다 963개 줄었다. 은행들은 기계구입비와 CCTV 등 관련장비 설치비, 관리 용역비, 유지보수비 등 전체 관리비용이 수수료 수입보다 많아 통상 한 대를 운영하는데 연간 160여만 원의 손실이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

신 의원은 “금융당국의 관리감독도 문제가 있다”며 “최근 인터넷, 모바일 뱅킹 등이 확산되면서 시장상황이 급변했음에도 금감원은 2005년 ‘은행수수료 원가상정 표준안’을 발표한 이후 별다른 조사를 실시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 수수료율은 시장에서 자율적으로 결정돼야 할 부분이지, 금융당국이 관여할 부분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일각에서는 금융소비자 권익제고를 위해, 은행 수수료 산정에 대한 금융당국의 조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신 의원은 “매년 수조원의 순 이익과 수천억원의 수수료 수입을 거두면서도, 이익창출을 위해 ATM·CD기 수를 줄이고 국민 불편을 초래하는 시중은행들의 태도는 지적받아 마땅하다”며 “막대한 공적자금이 투입됐고 사실상 공적인 역할을 감당하는 만큼, ATM·CD기 이용은 고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한다는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종합] "대중교통 요금 20% 환급"...K-패스 오늘부터 발급
  • "뉴진스 멤버는 쏘스뮤직 연습생 출신…민희진, 시작부터 하이브 도움받았다"
  • "불금 진짜였네"…직장인 금요일엔 9분 일찍 퇴근한다 [데이터클립]
  • 단독 금융위, 감사원 지적에 없어졌던 회계팀 부활 ‘시동’
  • "집 살 사람 없고, 팔 사람만 늘어…하반기 집값 낙폭 커질 것"
  • "한 달 구독료=커피 한 잔 가격이라더니"…구독플레이션에 고객만 '봉' 되나 [이슈크래커]
  • 단독 교육부, 2026학년도 의대 증원은 ‘2000명’ 쐐기…대학에 공문
  • 이어지는 의료대란…의대 교수들 '주 1회 휴진' 돌입 [포토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4.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259,000
    • -1.01%
    • 이더리움
    • 4,679,000
    • +0.75%
    • 비트코인 캐시
    • 713,000
    • -3.52%
    • 리플
    • 774
    • -2.03%
    • 솔라나
    • 226,000
    • -0.18%
    • 에이다
    • 705
    • -4.21%
    • 이오스
    • 1,233
    • +1.23%
    • 트론
    • 163
    • +0.62%
    • 스텔라루멘
    • 16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101,900
    • -2.39%
    • 체인링크
    • 21,900
    • -1.35%
    • 샌드박스
    • 708
    • +0.4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