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금융복합기업집단 자본적정성 비율, 전년 대비 19.4% 하락…미래에셋 홀로 8.7% ↑

입력 2025-06-25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금융복합기업집단 7곳의 자본적정성 비율이 174.3%로 전년 대비 19.4%p 하락했다고 25일 밝혔다. 금융복합기업집단법상 규제비율인 100%는 크게 웃돌아 손실흡수능력은 양호한 수준이다.

기업집단별로는 교보(201.4%), DB(195.0%), 다우키움(193.8%), 삼성(185.1%), 미래에셋(164.2%), 한화(154.9%), 현대차(146.9%) 순으로 높았다. 다만 보험사 지급여력비율(K-ICS·킥스) 경과조치를 적용할 경우 교보의 자본적정성 비율은 152.6%로 급감한다.

미래에셋 홀로 전년 대비 8.7%p 상승했고, 교보(-37.5%p), 삼성(-25.4%p), DB(-23.7%p), 한화(-17.4%p), 다우키움(-14.9%p), 현대차(-7.7%p)는 일제히 하락했다.

자본적정성 비율은 통합자기자본과 통합필요자본을 나눈 값에 100을 곱해 계산한다. 금융복합기업집단은 통합자기자본이 통합필요자본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 7개 기업집단의 통합자기자본(-2.7%)은 전년 대비 감소, 통합필요자본(8.1%)은 증가했다.

금리하락에 따른 보험부채 증가로 보험계열사 그룹의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이 큰 폭으로 감소한 것이 통합자기자본의 주요 감소 원인으로 꼽힌다. 통합필요자본의 증가는 해외 소속금융회사의 자산규모 증가, 보장성보험 판매 확대 등으로 인한 보험계열사 그룹의 장해·질병위험액 증가에 주로 기인했다.

금감원은 "미국 관세정책 등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비해 금리, 주가 등 금융시장 변동에 따른 자본적정성 비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금융복합기업집단 내 전이·집중위험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부거래, 공동투자 등 관련 잠재 위험요인에 대한 관리 강화를 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제헌절과 공휴일, 재회 기대감 [해시태그]
  • ‘파죽지세’ 비트코인, 12만3000달러도 넘어
  • ‘주 4.5일’ 공론화 시작됐다…산업구조 대전환 예고
  • 단독 100만명 돌파한 ‘GS25 도어투 성수’, 2년 8개월 만에 ‘폐점’
  • 유통가, 15일 자정 ‘갤럭시 Z 플립7ㆍ폴드7’ 일제히 사전예약...어디서 사야 최대 혜택?
  • 이 대통령, 반려견 '바비' 소개…"자꾸 아내한테만 가서 서운"
  • "눈 떠보니 내가 여주인공?!"…요즘 공연 영화, 이렇게 변신했다 [엔터로그]
  • 자영업자 10명 중 3명은 최저임금도 못 번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7.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4,190,000
    • +1.89%
    • 이더리움
    • 4,113,000
    • +1.76%
    • 비트코인 캐시
    • 689,000
    • -0.07%
    • 리플
    • 4,007
    • +4.08%
    • 솔라나
    • 222,500
    • +1.46%
    • 에이다
    • 1,004
    • +0%
    • 트론
    • 414
    • +0.73%
    • 스텔라루멘
    • 614
    • -3.61%
    • 비트코인에스브이
    • 36,200
    • +0.5%
    • 체인링크
    • 21,660
    • +1.69%
    • 샌드박스
    • 420
    • -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