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이 지구에 주는 에너지는 무한대…에너지화 여부가 문제"
"기후에너지부 개편 방향 빠르게…화석연료 의지않는 체계 짜야"
"주에너지원은 재생E…원전은 보조, 탈석탄 기조로 빠른 전환"

이재명 정부의 첫 환경부 장관 후보자로 발탁된 김성환 더불어민주당 의원(3선·서울 노원을)은 24일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모든 에너지체계를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후에너지부 신설과 관련해서는 "가급적 빠른 시일 내 개편의 큰 방향을 잡겠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이날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단 사무실로 처음 출근하는 길에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김 후보자는 "대한민국이 산업혁명 시기에는 늦었지만 새로운 문명 시기에는 인류의 중심국가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이재명 시대에 그 일의 토대를 잘 닦아야 한다"며 "청문회 준비를 잘해서 기후에너지부를 만드는 숙제를 어떻게 할지도 잘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환경부, 장차 기후에너지부가 해야 할 일은 대한민국 기업이 더는 화석연료에 의지하지 않는 새로운 에너지 체계, 문명 체계를 짜는 일"이라며 "이와 관련해선 법과 제도, 인센티브, 보조금 등 여러 제도적 지원이 당연히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탈원전에 대해서는 "바로 탈원전을 할 것은 아니다"라며 "재생에너지를 주에너지원으로 쓰고 기왕 만들어진 원전을 일종의 보조에너지원으로 쓰면서 빠른 속도로 탈석탄, 탈탄소 정책을 펴는 게 핵심적인 에너지 정책 기조가 아닐까"라고 강조했다.
김 후보자는 "태양이 우리 지구에 보내는 에너지 총량은 거의 무한대에 가깝다. 그걸 우리가 제대로 에너지화하고 있느냐, 못하느냐의 문제"라며 "이산화탄소를 발생하지 않는 에너지 기반의 전기화를 해야 한다. (에너지) 총량이 늘어나는 만큼의 전기는 얼마든지 자연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기후에너지부를 기존 환경부의 기후탄소실을 떼어 내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부문을 통합하는 방식으로 신설할 경우 물관리·자원순환 등 환경부 고유 업무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선 "산업과 에너지, 경제와 기후도 다 연관돼 있어 그렇게 따지면 관계가 없는 건 하나도 없다"면서 "조직을 어떻게 개편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냐는 건 국정기획위원회나 다른 여러 관계자와 상의해서 정하면 될 일"이라고 말했다.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 대해서는 "당연히 후퇴할 수는 없고 얼마나 전진할 수 있을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얼마나 높이는지가 가장 중요한 문제"라며 "지난 3년간 재생에너지 비중이 축소됐기 때문에 얼마나 빨리 만회하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이어 "관계부처 간 잘 협의하고 공론화 과정을 거치겠다"며 "국제사회에서 대한민국이 차지하는 위상도 있고, 기후 관련 산업을 키워야 하는 숙제도 있으니 잘 고려해서 계획을 세우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