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이스라엘 휴전?…유가 안정됐지만 불확실성 여전”

입력 2025-06-24 09: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백악관 상황실의 트럼프. (연합뉴스)
▲백악관 상황실의 트럼프. (연합뉴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이란-이스라엘 완전한 휴전 합의’ 발표에 대해 이권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아프리카·중동·중남미팀 선임연구위원은 경제적으로는 숨통이 트였지만,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고 진단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24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미국과 이스라엘은 이미 작전이 끝났다고 판단하고 있지만, 이란은 ‘휴전 제안받은 적 없다’라는 입장”이라며 “현지 보도들이 엇갈리는 만큼, 진짜 휴전이 됐는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다만 “미국은 이란의 핵무기 개발 능력이 이미 파괴됐다고 보고 있고, 이스라엘도 재공습의 명분이 사라졌기 때문에 무리하게 군사 행동을 이어가긴 어려울 것”이라며 휴전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이어 “이란은 고립무원의 상황”이라며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 중국은 미국과의 관계를 의식해 실질적 지원이 어렵고, 주변 아랍국들 역시 비판은 해도 실질적 도움은 줄 일이 없다”고 말했다. 이에 이 선임연구위원은 이란 입장에서 시간을 벌고 방어망을 재정비하는 쪽으로 나설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로 시장은 빠르게 반응하고 있다. 이 연구위원은 “WTI(서부텍사스산 원유)와 브렌트유 모두 약 7% 하락하며 각각 60달러 중반, 70달러 초반대로 급락했다”며 “시장은 이미 (휴전 분위기를) 선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유가 상승세가 꺾이면 제조 비용 부담이 완화되고, 우리나라처럼 수출 중심의 경제구조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며 “물가도 기존의 오름세를 유지하는 선에서 통제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환율도 진정세를 보이고 있으며, 국내 증시는 다시 3000선을 회복하며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도 이 선임연구위원은 휴전이 확정된 것이 아닌 만큼 불확실성은 여전히 크다고 봤다. 그는 “이스라엘이 재공격하거나,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할 경우 상황은 다시 악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이란은 과거부터 지정학적 위기 때마다 ‘호르무즈 해협 봉쇄’를 언급했지만, 실제로 봉쇄한 적은 없었다”며 “해협을 막으면 이란 자신도 원유 수출과 생필품 수입이 막혀 큰 타격을 입기 때문에 실현 가능성은 작다”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디저트부터 케이팝까지… 신세계명동, K컬처 성지로
  • 지니어스法 통과…리플 등 알트코인, ‘불장’ 신호
  • '불꽃야구' 박재욱, 동아대전서 짜릿한 역전 투런 홈런 '쾅'…"프로에서도 홈런이 없었는데"
  • 도파민 터지지만, 피로감도↑…'이혼 예능' 이대로 괜찮을까 [데이터클립]
  • 닷새간 폭우로 사망 14명·실종 12명⋯장마 끝나자 폭염 시작
  • 李정부, 법인·대주주 '尹부자감세' 전면 복원...법인세 원상 복구할 듯
  • '소비쿠폰' 21일부터 신청… 첫주 출생연도 따라 요일제
  • 59㎡ 아파트가 40억대…소형아파트 매매가 또 경신
  • 오늘의 상승종목

  • 07.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1,681,000
    • -0.17%
    • 이더리움
    • 5,015,000
    • +2.47%
    • 비트코인 캐시
    • 719,000
    • +2.35%
    • 리플
    • 4,680
    • -0.36%
    • 솔라나
    • 243,200
    • +0.62%
    • 에이다
    • 1,149
    • +1.95%
    • 트론
    • 439
    • -1.57%
    • 스텔라루멘
    • 630
    • -0.4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740
    • +4.12%
    • 체인링크
    • 25,580
    • +3.6%
    • 샌드박스
    • 455
    • +2.0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