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라리스세원, 북미 로보택시용 핵심 공조 부품 공급

입력 2025-06-24 09: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글로벌 빅테크 계열 자율주행차에 적용으로 시장 확대

자동차 열관리 전문기업 폴라리스세원이 북미 주요 도시에서 상용화 중인 차세대 자율주행 전기차 플랫폼에 핵심 부품인 ‘헤더콘덴서(Header Condenser)’를 공급했다고 24일 밝혔다.

공급 대상은 세계 최대 ICT 기업의 자율주행 계열사로 실리콘밸리를 기반으로 하는 글로벌 로보택시 선도 기업이다. 자율주행차 기술력과 상업화 속도 면에서 전 세계 시장을 리딩 중인 해당 기업은 북미 여러 도시에서 상용 로보택시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향후 글로벌 확장도 예고돼 있어 파급력이 크다.

이번 공급은 단순한 부품 납품을 넘어, 폴라리스세원이 자율주행차와 전기차의 융합 플랫폼에 안정적인 기술을 입증받았다는 의미를 가진다.

특히 전기차 산업이 일시적 수요 둔화(캐즘)에 직면한 가운데, 자율주행 기반 수요는 구조적 성장 중이란 점에서 폴라리스세원의 중장기 수익성과 밸류에이션 확장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공급 부품인 헤더콘덴서는 전기차 공조시스템 내 열 관리 효율을 높이는 핵심 부품으로, 차량 안정성, 주행거리 확보, 승객 쾌적성 등에 직결된다. 최근 완성차업계가 집중하는 통합 열관리 시스템(ITMS)에서도 필수요소로 꼽힌다

이번 공급 계약으로 폴라리스세원은 △글로벌 탑티어 자율주행 고객사 확보에 따른 레퍼런스 가치 상승 △차세대 플랫폼 수요 확장에 따른 후속 수주 가능성 △공조 시스템 수출 확대 및 매출 다변화 실현 △기존 파이프 기반 기술의 고부가가치화 등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또 중장기적으로 자율주행 및 전기차 시장 확대에 발맞춰 미래차 전문 부품 기업으로서 입지를 더욱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폴라리스세원 관계자는 “이번 공급은 회사의 글로벌 수준 기술력과 생산 품질 역량이 실제 자율주행 상용차에 적용되며 검증받은 사례”라며 “향후 북미를 포함한 글로벌 자율주행 전기차 시장으로 공급망을 넓혀가며, 미래 모빌리티 시장의 핵심 부품사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폴라리스세원은 생산 대응력 강화를 위해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에 제3공장(2977㎡ 부지, 연면적 1804㎡)을 신규 확장했다. 현재 파이프 생산 설비를 기반으로 가동 중이며, 향후 브레이징 공정 및 고객사 품질인증 완료 후 본격 양산 체제로 진입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평당 4600만원대 진입"…끝 모를 서울 분양가 상승세
  • 제헌절과 공휴일, 재회 기대감 [해시태그]
  • 모수개혁은 한계, 통합적 구조개혁 필요 [다시 연금개혁]
  • "7~8월 누진세 구간 완화"…여름 전기요금 폭탄 면할까
  • 소버린 AI, ‘자립’에서 ‘확장’으로⋯글로벌 기술패권 노린다 [이재명표 AI 전략]
  •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위협에도 상승…다우지수 0.2%↑
  • 12만 달러 뚫은 비트코인, 숨 고르기…연말 15만 달러 조준 [Bit코인]
  • '불꽃야구' 성남고 2차전, 문교원의 짜릿한 역전타
  • 오늘의 상승종목

  • 07.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0,079,000
    • -3.51%
    • 이더리움
    • 4,082,000
    • -0.85%
    • 비트코인 캐시
    • 670,500
    • -3.94%
    • 리플
    • 3,905
    • -2.5%
    • 솔라나
    • 219,200
    • -2.88%
    • 에이다
    • 989
    • -3.89%
    • 트론
    • 409
    • -0.24%
    • 스텔라루멘
    • 607
    • -6.9%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260
    • -3.69%
    • 체인링크
    • 21,130
    • -3.21%
    • 샌드박스
    • 412
    • -6.3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