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빗 리서치센터, ‘금융 환경 변화에 따른 정책 제언’ 보고서 발간

입력 2025-06-23 10:2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코빗)
(사진=코빗)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 산하 코빗 리서치센터는 새 정부의 디지털 자산 산업 전략 수립을 위한 ‘금융 환경 변화에 따른 정책 제언’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3일 밝혔다.

해당 보고서는 디지털 자산 기본법 중심으로 새롭게 형성되는 제도 환경을 뒷받침하고, 국내 가상자산 산업이 제도권으로 안정적으로 편입되는 데 필요한 세 가지 핵심 과제를 제시했다.

첫 번째는 ‘금가분리 원칙의 유연한 재해석’이다. 현재 국내 금산분리 원칙은 금융과 산업자본의 결합을 제한해 금융 안정성을 도모해왔지만, 디지털 전환 시대에 가상자산 산업과 금융 간 협업까지 가로막는 구조적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미국, 유럽 등 주요국에서는 은행의 소수지분 투자나 자회사 설립을 통해 가상자산 산업과의 전략적 제휴가 활발하지만, 한국은 금융사의 직접 참여가 사실상 봉쇄된 상황이다. 코빗리서치센터는 공공성과 리스크 관리 기준을 충족하는 범위 내에서 유연한 금가분리 재해석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두 번째 과제로는 ‘고급 인프라 확보를 위한 협력’을 꼽았다. 보고서는 기관투자자 유치를 위한 커스터디(수탁) 인프라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전통 금융기관이 커스터디나 토큰화 자산, 결제망 등 핵심 인프라에 전략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자회사 설립, 지분 투자 규제의 완화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가상자산 규율 거버넌스 명확화’를 제안했다. 현재 국내는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등 유관 부처 간 역할이 중첩되며 정책 혼선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해 “주관부처 일원화와 기능별 역할 분담, 상설 협의체 구성이 시급하다”라고 강조하며 영국·스위스·아랍에미리트(UAE) 등 해외 사례를 벤치마킹할 것을 추천했다.

최윤영 코빗 리서치센터장은 “가상자산 생태계는 금융·기술·산업이 융합된 구조를 전제로 하는 만큼, 기존의 금가분리 원칙이나 단일 규제 접근만으로는 대응에 한계가 있다”라며 “커스터디, 결제, 토큰화 등 신뢰 기반 인프라를 구축하고 제도권 편입을 가속하려면 금융과 가상자산 산업 간 전략적 협업이 가능하도록 규제를 정비하고, 관계기관 간 책임을 조정하는 거버넌스 체계도 함께 마련해야 한다”라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주 4.5일’ 공론화 시작됐다…산업구조 대전환 예고
  • 전국 대체로 흐리고 곳곳에 비…예상 강수량 '최고 150mm 이상'
  • 야닉 시너 윔블던 우승, 알카라스에 설욕
  • 지주사·가상자산 등 이재명·정책 테마 관련주 강세 [상반기 이 종목]
  • ‘고용 불안의 도시’가 된 실리콘밸리…근로자들, 극한 스트레스
  • 단독 메리츠화재, 8월 예정이율 전략회의⋯보험료 인상 눈치싸움
  • 조선대병원 수술실 화재 발생…환자 5명 연기 흡입·40명 긴급 대피
  • “코스피, 단기조정 여지 있지만…리레이팅은 계속된다” [하반기 이 업종]
  • 오늘의 상승종목

  • 07.14 14:2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6,213,000
    • +3.76%
    • 이더리움
    • 4,144,000
    • +3.11%
    • 비트코인 캐시
    • 702,000
    • +1.96%
    • 리플
    • 4,000
    • +5.85%
    • 솔라나
    • 227,700
    • +3.45%
    • 에이다
    • 1,038
    • +5.49%
    • 트론
    • 413
    • +0.98%
    • 스텔라루멘
    • 675
    • +14.21%
    • 비트코인에스브이
    • 36,960
    • +2.84%
    • 체인링크
    • 22,030
    • +6.68%
    • 샌드박스
    • 449
    • +13.6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