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ㆍ이란, 유엔 안보리서 정면 충돌⋯"이란 핵 위협" vs "핵시설 공격, 국제법 위반"

입력 2025-06-23 08: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란 "핵 시설 공격은 국제법 위반"
美 "안보 위협, 정당한 집단 자위권"
韓 "자제하고 외교적 대화 재개해야"

▲미국과 이란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긴급회의에서 격렬하게 맞섰다. 사진 왼쪽은 아미르 이라바니 주유엔 이란 대사, 오른쪽은 도로시 셰이 주유엔 미국 대사 대행의 발언 모습.  (출처 유엔TV 동영상 캡처)
▲미국과 이란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긴급회의에서 격렬하게 맞섰다. 사진 왼쪽은 아미르 이라바니 주유엔 이란 대사, 오른쪽은 도로시 셰이 주유엔 미국 대사 대행의 발언 모습. (출처 유엔TV 동영상 캡처)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습 이후 양국 관계가 악화한 가운데 양측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긴급회의에서 정면으로 충돌하며 격하게 맞섰다/

22일(현지시간) 유엔TV에 따르면 도로시 셰이 주유엔 미국 대사 대행은 이란 공습과 관련해 “이번 작전은 이란의 핵농축 능력을 해체하고 세계 안보에 위협이 되는 이란의 핵 위협을 저지하기 위한 정당한 집단 자위권 행사”라고 강조했다.

셰이 대사는 “이번 공격은 오랜 준비 끝에 실행됐으며, 유엔 헌장에 부합하는 행위로, 동맹국 이스라엘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란은 사태를 확대하지 말아야 하며, 미국이나 미군 기지에 대한 어떠한 공격도 파괴적인 보복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맞서 이란의 아미르 사에이드 이라바니 주유엔 대사는 안보리 긴급회의에서 "미국의 핵시설 공격은 국제법과 유엔 안보리 결의, 핵확산금지조약(NPT) 위반"이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그는 “미국은 이란에 대한 근거 없는 주장을 내세우며 외교 노력을 파괴했다”라고 말하고 “이번 사태에 대한 이란의 균형 있는 대응 시기, 성격, 규모는 군부가 결정할 것”이라며 보복을 예고했다.

우리 정부는 대화를 통한 외교적 해결을 촉구했다. 황준국 주유엔 대사는 “군사적 수단만으로는 지속 가능한 위기 해결이 어렵다”며 “모두 최대한의 자제를 발휘하고, 대화와 외교를 재개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핵 안전 노력을 지지하며, 현재 위기가 안전조치 측면에서 갖는 의미에 대해 유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안보리 긴급회의는 미·이란 간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국제사회가 다양한 입장과 대응책을 모색하는 장이 됐다. 양국 간 갈등이 추가적인 군사 충돌로 비화할지, 아니면 대화의 물꼬를 틀지는 앞으로의 국제 외교 행보에 달려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제헌절과 공휴일, 재회 기대감 [해시태그]
  • ‘파죽지세’ 비트코인, 12만3000달러도 넘어
  • ‘주 4.5일’ 공론화 시작됐다…산업구조 대전환 예고
  • 단독 100만명 돌파한 ‘GS25 도어투 성수’, 2년 8개월 만에 ‘폐점’
  • 유통가, 15일 자정 ‘갤럭시 Z 플립7ㆍ폴드7’ 일제히 사전예약...어디서 사야 최대 혜택?
  • 이 대통령, 반려견 '바비' 소개…"자꾸 아내한테만 가서 서운"
  • "눈 떠보니 내가 여주인공?!"…요즘 공연 영화, 이렇게 변신했다 [엔터로그]
  • 자영업자 10명 중 3명은 최저임금도 못 번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7.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4,207,000
    • +1.81%
    • 이더리움
    • 4,120,000
    • +1.93%
    • 비트코인 캐시
    • 690,500
    • +0.07%
    • 리플
    • 4,024
    • +5.34%
    • 솔라나
    • 222,300
    • +1.51%
    • 에이다
    • 1,007
    • +0.8%
    • 트론
    • 413
    • +0.49%
    • 스텔라루멘
    • 621
    • -2.05%
    • 비트코인에스브이
    • 36,120
    • +0.87%
    • 체인링크
    • 21,580
    • +1.51%
    • 샌드박스
    • 421
    • -1.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