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협의 큰 틀에서 우리 업계 영향 최소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현재의 25%에서 50%로 올리겠다고 예고하자 정부가 철강업계와 만나 대책 마련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일 서울 철강협회에서 나성화 산업공급망정책관 주재로 철강 및 비철금속 업계와 긴급 점검회의를 열었다.
트럼프 미 대통령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의 US스틸 공장에서 진행한 연설에서 외국산 철강·알루미늄 관세를 배로 올리겠다고 공언했다. 올해 3월 12일부터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외국산 철강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했는데 6월 4일부터 관세율을 50%로 올리겠다는 것이다.
이미 부과 중인 25%의 관세만으로도 핵심 시장인 미국 수출에 큰 부정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 철강 업계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인상 발표에 바짝 긴장하고 있다.
관련 뉴스
철강 업계는 트럼프 대통령의 공언대로 철강 관세가 50%로 오른다면 우선 미국 내 수요 위축으로 미국 시장 판매가 감소하는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한다.
특히 철강 업계는 기본적으로 영업이익률이 낮은 편이기 때문에 높은 관세 인상이 대부분 제품 가격 인상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타격은 더 클 수밖에 없다.
트럼프 대통령의 철강 관세 인상 충격이 가뜩이나 세계적 공급 과잉과 국내 건설 경기 침체 등으로 고전하는 업황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현재도 25%의 관세로 인해 미국 수출이 간신히 유지되는 상황인데, 여기에 추가로 25%가 더해지면 가격 경쟁력이 무너져 사실상 수출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미국 시장은 한국 전체 철강 수출의 약 13%를 차지하고 있어,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한 산업부는 이날 포스코와 현대제철, 노벨리스코리아 등 주요 철강 및 비철금속 기업의 통상 담당 임원들과 만나 철강 관세 인상이 미칠 영향과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현재 정부는 미주 공관과 현지 진출 업체 등을 비롯한 모든 네트워크를 가동해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 중이다.
업계는 정부의 신속한 정보 공유와 대미 협의를 요청하는 한편, 자체 네트워크를 통한 현지 상황 파악 등 민관 원팀 대응에 협조키로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미국의) 시행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한미 협의의 큰 틀에서 우리 업계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업계 일각에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돌발 발언이 미국 내 철강 수요기업들의 반발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제 관세 인상이 이행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도 제기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가 상호관세 카드가 흔들리면서 이를 보완하려는 의도로 보이지만, 50%라는 관세율은 미국 공급망에도 자해 수준”이라며 “실제 시행 여부는 아직 불투명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