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 수준 계속 높아질 것”...미 국채 금리 급등
일각선 숨고르기 해석도...“최근 급등세 소화”

뉴욕증시는 미국 공화당 주도의 세금 감면 예산안이 이미 큰 재정적자에 더 큰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우려 속에 하락 마감했다.
2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816.80포인트(1.91%) 내린 4만1860.44에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전장 대비 95.85포인트(1.61%) 떨어진 5844.61에, 나스닥지수는 270.07포인트(1.41%) 밀린 1만8872.64에 거래를 끝냈다.
투자자들의 시선은 새로운 예산안으로 쏠렸다. 해당 예산안은 세금 인하를 골자로 하고 있어 통과된다면 미국 재정적자가 더 악화될 수 있다는 불안감에 투자심리는 위축됐다.
샘 스토발 CFRA리서치 수석 투자 전략가는 CNBC방송에 “문제는 재정적 관점에서 볼 때 세금 부담이 어떻게 될 것이며 최근의 재정 긴축 시도가 단순히 부채 증가 속도를 늦추는 것에 그치고 끝나는 것 아닌지”라며 “투자자들은 국가가 인플레이션 속도를 늦추거나 국가 부채를 줄이기 위해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고 우려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관련 뉴스
이어 “예산안 통과 가능성이 더 높아졌고 결국 전체 국가 부채 수준을 계속 높일 것 같다”고 전망했다.
미 국채 금리는 급등했다. 30년물 미 국채 금리는 장중 12bp(1bp=0.01%포인트) 오른 5.09% 수준에서 거래되며 이번 주 들어 두 번째로 5%를 돌파했다. 10년물 미 국채 금리도 4.6%를 넘어서면서 지난달 시장 혼란을 야기했던 수준으로 올랐다. 이날 오후 20년물 미 국채 경매 결과가 부진하면서 금리는 더욱 급등했다.
다만 시장에서는 조정 흐름의 연장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S&P500지수는 6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다 전날 하락세로 돌아섰고 나스닥지수도 3거래일 만에 하락 전환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부과하면서 뉴욕증시가 폭락한 뒤 상호관세 유예와 미‧중 무역 합의 등으로 급격한 회복세를 보인 이후 숨 고르기를 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스토발은 “일부 투자자들은 최근 (증시가) 너무 빠르게 많이 오른 것 아니냐는 우려를 하고 있다”며 “급등세를 어느 정도 소화할 시점이 됐다고 보고 있다”고 평가했다.
크리스티안 커 LPL파이낸셜 매크로 전략본부장도 “지난 한 달간 주식시장의 회복은 속도와 규모 면에서 놀라울 정도였다”며 “이 같은 강한 반등이 리스크가 모두 해소됐다는 신호로 읽히기 쉽지만, 현실적으로 여전히 상당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풀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