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은 21일 대통령 선거일인 6월 3일을 '택배 없는 날'로 지정해 택배 노동자의 투표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했다.
이날 민주당 당 대표 직무대행인 박찬대 상임총괄선거대책위원장은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회의에서 "CJ대한통운, 한진, 롯데택배 등이 대선일을 휴무일로 지정하지 않고 있다"며 "사전 투표일이 평일이라 본 투표일마저 휴무일로 지정되지 않는다면 택배 노동자들은 투표권을 행사할 수 없게 된다"고 밝혔다.
박 위원장은 "특수 고용직, 배달 라이더, 플랫폼 노동자의 처지도 마찬가지"라며 "관련 기업에 촉구한다. 노동자들의 투표권을 보장하는 방안을 즉시 마련해달라"고 말했다.
선대위 김한나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물류 노동자들이 평일에 사전투표가 이뤄지는 이번 대선에서 투표하기 어려운 상황에 부닥친 판"이라며 "물류 사들이 6월 3일을 휴무일로 지정해 택배 노동자들이 자유롭게 투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김 대변인은 교육 당국에는 "대선 직후 6월 평가원 모의고사가 잡혀 있는 고등학교 3학년생들도 투표권을 정상적으로 행사하기 쉽지 않으므로 고3 학생들이 투표할 수 있도록 적극 독려해달라"고 했다.
앞서 전국택배노동조합,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들은 이날 오전 11시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이순신장군 동상 앞에서 '참정권 보장! 6월 3일 택배 없는 날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6월 3일을 '택배 없는 날'로 지정해 특수고용 택배 노동자들의 참정권을 보장하고, 주 7일 배송 속도경쟁으로 인한 택배 노동자들의 참정권 침해를 막아달라는 제안했다.
민주노동당 권영국 대선 후보도 성명에서 "택배 업체가 대선일을 휴무일로 지정하지 않아 택배 노동자들이 참정권 피해를 보고 있다"며 "국토교통부가 택배 없는 날 지정을 권고하고 나서야 한다"고 했다.
권 후보는 최근 택배업계의 주7일 배송 체제 도입 등을 지적하며 "단순한 노동 문제를 넘어 헌법이 보장하는 기본권의 침해다. 모든 노동자에게 근로기준법을 전면 적용하겠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