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나무, ‘2025 업비트 피자데이’⋯2025명에게 피자 세트 증정

입력 2025-05-21 09:4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블록체인 및 핀테크 전문기업 두나무는 22일 비트코인 피자데이를 맞아 ‘2025 업비트 피자데이’를 진행한다고 21일 밝혔다.

‘비트코인 피자데이’는 최초의 가상자산 실물 교환 거래가 이뤄진 날이다. 2010년 5월 22일 미국의 라스즐로 핸예츠가 1만 비트코인으로 파파존스 피자 두 판을 교환한 것에서 유래됐다.

올해로 7회째를 맞는 ‘업비트 피자데이’의 메인 이벤트는 ‘피자 대체불가능토큰(NFT) 무료 래플 드롭스’로, 22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진행된다. 업비트NFT 내 NFT 무료 래플 드롭스 페이지에 접속, 피자데이와 관련된 퀴즈 한 문제를 맞히고 응모 버튼을 클릭하면 참여할 수 있다.

추첨을 통해 선발된 2025명의 회원들에게 수퍼 파파스 오리지널 라지를 비롯해 치킨 스트립, 코카콜라 1.25리터(L)로 구성된 4만 원 상당의 파파존스 피자 세트를 증정한다. 경품은 카카오톡 알림톡으로 발송된다.

당첨 회원들에게는 피자뿐 아니라 업비트 피자데이로 소중한 추억을 나눈 아동양육시설 청소년들의 그림도 NFT로 발행해 증정한다. NFT 대상 작품에는 지난해 업비트 피자데이를 주제로 아동양육시설 청소년들이 직접 참여한 ‘나두-업티스트(Upbit Artist)’ 대회 최종 수상작 중 총 15개가 선정됐다.

두나무는 매년 이벤트 참여 회원을 대상으로 지급하는 피자만큼 아동양육시설의 소외된 청년들에게도 피자를 기부한다. 기부에 사용되는 피자는 굿네이버스에 정기 기부를 해온 ‘좋은이웃가게’를 포함한 소상공인을 통해 구매함으로써 소상공인 지원에도 동참한다.

2022년부터 시작된 두나무의 피자 기부는 지난 3년간 약 1만 판에 달하며 매해 3000명가량의 아동청소년들에게 전해지고 있다. 2024년에도 전국 73개 기관, 2930명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총 219회의 피자 기부를 진행했으며 올해는 기부 규모와 범위를 확대해 서울형 교육복지 학교의 교육 취약 학생들에게도 전달될 예정이다.

이석우 두나무 대표는 “디지털 금융의 탄생을 전했던 피자데이처럼 ‘업비트 피자데이’를 통해 디지털 자산이 가진 긍정적 유용성을 알릴 수 있기를 바란다”라며 “보다 많은 아이들이 따뜻한 봄, 따뜻한 행복을 나눌 수 있도록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차주 1인당 평균 가계대출 9600만 원 ‘역대 최고’ [빚더미 한국①]
  • 넷플릭스 휩쓴 K콘텐츠 오징어 게임 2억3100만 뷰 시청
  • 폭우에 잠긴 챔필 앞…오늘(18일) 프로야구도 우천취소?
  • “상용화 다가온 XR 시장”…삼성전자, 하반기 승부수 띄울까
  • 세노바메이트 다음은?…SK바이오팜, 후속 파이프라인 언제 나올까?
  • 美 하원, 스테이블코인 규제법안 가결…트럼프 책상으로
  • 복날엔 삼계탕, 언제부터 시작됐을까? [그래픽 스토리]
  • '펑펑' 폭발음 뒤 화마…'3명 심정지' 광명 아파트 화재 참변
  • 오늘의 상승종목

  • 07.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3,286,000
    • +1.16%
    • 이더리움
    • 4,953,000
    • +5.97%
    • 비트코인 캐시
    • 725,000
    • +7.49%
    • 리플
    • 4,793
    • +11.59%
    • 솔라나
    • 248,800
    • +5.69%
    • 에이다
    • 1,192
    • +13.74%
    • 트론
    • 447
    • +4.93%
    • 스텔라루멘
    • 668
    • +5.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390
    • +2.36%
    • 체인링크
    • 25,560
    • +11.32%
    • 샌드박스
    • 468
    • +9.0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