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화폐발행잔액 197조…시장금리 하락 영향 예비용 수요”

입력 2025-05-18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합뉴스 )
(연합뉴스 )
1분기 화폐발행잔액이 200조 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4일 열린 ‘2025년 상반기 화폐유통시스템 유관기관 협의회(이하 협의회)’에서 1분기말 197조 원으로 집계됐다고 논의했다. 협의회는 한은, 한국조폐공사 등 총 25개 기관이 참여하며 상·하반기 각 1회 개최한다.

협의회는 “최근 시장금리 하락으로 인해 예비용 및 가치저장 목적의 5만원권 화폐수요가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며 “주로 거래용으로 사용되는 저액권 수요는 거의 변동없다”고 분석했다. 이어 “주화의 경우 2020년 이후 순환수가 확대되고 있으며, 10원화의 경우에는 순발행이 지속되고 있으나 그 규모가 빠르게 감소했다”고 부연했다.

이날 회의에서 협의회 의장인 김기원 한은 발권국장은 최근 현금사용 감소세 지속으로 현금접근성이 저하되는 점을 주목했다. 화폐유통시스템 참가기관들의 경영여건도 악화되면서 화폐유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한은은 현금사용 감소세의 부작용에 대응하고자 2월에 발권국 내 화폐유통팀을 신설했다.

회의참석자들은 우리나라의 현금사용도가 급격히 하락하기보다 완만하게 하락할 것으로 진단했다. 참석자들은 “우리나라는 ATM 보급률이 높고, 국민들의 위험회피성향도 강한 편으로 이러한 현금사용 결정요인이 현금 고사용국(일본, 스페인, 독일, 이탈리아)과 유사한 만큼 향후 현금사용도가 저사용국(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핀란드, 스웨덴, 노르웨이)처럼 급격히 하락하기 보다는 완만하게 하락하면서 일정수준에서 안정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현금사용 감소에 따른 현금수송업체, 비금융 ATM 운영업체 등의 수익성 악화에 대한 대응과 금융기관 점포 및 ATM 수 축소로 인한 농어촌 등 벽지지역의 현금접근성 악화에 대한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현금수송업체와 비금융 ATM 업체들은 “현금취급 이외 부문으로의 사업 다각화 또는 인력축소 등 조직 효율화를 통해 대응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며 현금취급 사업의 지속을 위해서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외국인 집주인 1년에 10%씩 늘었다 [외국인 'K 부동산' 쇼핑, 이대로 괜찮나? ①]
  • 이스라엘, 이란 공습 소식에 국제유가 7% 급등
  • 디지털자산 제도화 속도戰… '혁신-소비자보호' 균형 잡아야[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⑤]
  • '차명 재산 의혹' 오광수 대통령실 민정수석 사의
  • “내수부터 살리자” 車 업계, 할인러시…개소세 인하 연장 목소리도
  • 희토류 물꼬 튼 G2…對中 반도체 수출 규제도 풀릴까
  • 실용주의 정책·한중 해빙 무드...K뷰티, 中 시장 재공략 기대감 고조[이재명 정부 유통산업 전망⑤]
  • 규모 확대 후 처음 개최되는 '2025 피파 클럽월드컵', 관전 포인트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10:4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880,000
    • -3.69%
    • 이더리움
    • 3,479,000
    • -8.69%
    • 비트코인 캐시
    • 561,000
    • -4.59%
    • 리플
    • 2,934
    • -5.63%
    • 솔라나
    • 199,400
    • -9.61%
    • 에이다
    • 874
    • -8.86%
    • 트론
    • 373
    • -2.61%
    • 스텔라루멘
    • 357
    • -6.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470
    • -8.58%
    • 체인링크
    • 18,100
    • -11.1%
    • 샌드박스
    • 357
    • -9.6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