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티 “미·중 관세 장벽 완화, 韓 내년 성장률 1.3→1.5% 수정”

입력 2025-05-13 10: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스위스 제네바에서 12일(현지시간) 스콧 베선트(오른쪽) 미국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전날까지 이틀간의 미·중 고위급 무역 협상을 마치고 이날 발표한 공동성명을 설명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제네바/AFP연합뉴스
▲스위스 제네바에서 12일(현지시간) 스콧 베선트(오른쪽) 미국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전날까지 이틀간의 미·중 고위급 무역 협상을 마치고 이날 발표한 공동성명을 설명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제네바/AFP연합뉴스
미국과 중국간 상호관세 우려가 일부 완화되면서 우리나라의 내년 성장률을 상향 조정하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김진욱 씨티 이코노미스트는 13일 보고서를 통해 “전 세계 수요 충격이 예상보다 완만하게 전개될 가능성이 커진 점을 고려해 내년 한국의 GDP 성장률 전망치를 0.2%포인트(p) 상향 조정해 1.5%로 수정한다”고 분석했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0.6%로 유지했다.

김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은행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5%에서 0.8~1.0%로 낮출 것으로 예상했다.

김 이코노미스트는 “한은은 올해 한국의 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5%에서 0.8~1.0%로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며 “2025년 소비자물가(CPI) 상승률 전망은 1.9%에서 2.0%로, 근원물가(Core CPI) 상승률은 1.8%에서 1.9%로 소폭 상향 조정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달 29일 예정된 금융통화위원회에서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인하할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김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경기와 물가에 대한 하방 리스크와 원·달러 환율의 하단 안정세가 겹치면서 이달 29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50bp(1bp=0.01%p) 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며 “다만 금융 불안에 대한 우려로 인해 한국은행이 25bp 인하에 그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5월 회의에서 2025년 기준금리 인하 경로 가이던스를 기존 2.25~2.50%에서 약 2.00% 수준으로 하향 조정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부언했다.

그러면서 김 이코노미스트는 최종 기준금리 수준 예상치는 기존 1.50%에서 1.75%로 조정했다.

그는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사이클의 최종 금리 전망도 기존 2026년 2분기 1.50%에서 2026년 1분기 1.75%로 상향한다”며 “금리 인하 경로는 2025년 5·8·11월, 그리고 2026년 2월에 각각 25bp씩 인하해 최종적으로 1.75%에 도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스코이앤씨, 용산정비창 빠른 사업·대형 평형 극대화 '철의 약속'
  • '소집 해제' 슈가, 직접 인사 전했다…"음주운전, 멤버들에게도 미안" [전문]
  • 트럼프 “대이란 공격 결정 2주가 최대...이란에 정신 차릴 시간 주고 있다”
  • [시승기] ‘조용하고 강한 SUV’…신형 넥쏘, 주행감에 놀라고 효율에 두 번 놀라
  • "새 아파트 살래요"...5년 이하 신축에 쏠리는 수요자들
  • 장마와 함께 돌아온 원조 '좀비물'⋯근원적 공포 표현한 '28년 후' [시네마천국]
  • "고창서 장어·복분자 맛보세요"…'라벤더·해바라기' 꽃놀이도 [주말N축제]
  • 시즌 중간 결산 대회…‘2025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우승 후보는? [딥인더게임]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840,000
    • -1.8%
    • 이더리움
    • 3,377,000
    • -4.6%
    • 비트코인 캐시
    • 652,000
    • -4.05%
    • 리플
    • 2,967
    • -1.13%
    • 솔라나
    • 195,700
    • -4.21%
    • 에이다
    • 810
    • -2.88%
    • 트론
    • 382
    • +1.06%
    • 스텔라루멘
    • 339
    • -2.3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840
    • -3.84%
    • 체인링크
    • 17,590
    • -3.83%
    • 샌드박스
    • 349
    • -2.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