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2024 회계연도 경상수지 흑자 ‘사상 최대’...해외 이자ㆍ배당이 견인

입력 2025-05-12 14: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엔저·미국 증시 호재 등 영향 미쳐
제1차 소득수지, 4년째 최고치 경신
무역수지 적자폭 10% 확대

▲일본 국기와 엔화. 출처 게티이미지
▲일본 국기와 엔화. 출처 게티이미지

일본이 해외와의 상품·서비스·투자 거래를 나타내는 경상수지 규모가 2024 회계연도(2024년 4월∼2025년 3월)에 역대 최대 흑자를 기록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2일 보도했다.

일본 재무성은 이날 2024회계연도 국제수지(속보치) 자료를 통해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30조3771억 엔(약 290조원)으로 전년보다 16.1%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비교 가능한 1985년도 이후 가장 큰 규모를 달성했다. 경상수지는 수출에서 수입을 뺀 무역수지, 여행수지를 포함한 서비스수지, 외국과 투자 거래를 나타내는 제1차 소득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흑자 확대의 주된 원인은 해외 자산에서 받은 이자 및 배당 수입을 나타내는 제1차 소득수지의 흑자폭 증가 때문이라고 닛케이는 설명했다. 흑자액은 41조7114억 엔으로 11.7% 늘어나 4년 연속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해당 기간 기록적인 엔저로 해외로부터 받은 배당금이 늘어난 것이 주된 원인이다. 엔화 환율은 2024년도 평균 1달러당 152.48엔으로, 2023년도 평균 144.55엔보다 5.5% 절하됐다. 또한 작년에는 미국 증시가 기록적인 흐름을 나타냈다.

특히 직접투자 수익이 25조9003억 엔으로 14.7% 늘었다. 또 이중 증권투자 수익은 14.9% 확대된 14조7233억 엔에 달했다.

2024년 회계연도 무역수지는 4조480억 엔의 적자를 기록했으며, 적자 규모는 전년도 대비 9.8% 확대됐다. 세부적으로 보면 수출은 106조2390억 엔으로 4.1% 증가했다. 아시아를 대상으로 한 반도체 제조장비와 미국시장에서의 자동차 수출이 호조를 보였다. 수입도 110조2870억 엔으로 4.3% 증가했는데, 이는 PC와 스마트폰 등의 수입 증가가 영향을 미쳤다.

같은 기간 서비스수지는 2조5767억 엔의 적자로 집계됐으며. 적자 폭은 20.2% 축소됐다. 여행수지가 6조6864억 엔의 흑자를 내며 전년도 대비 58.3% 뛰어 1996년도 이후 가장 큰 규모를 기록했다. 이는 일본을 방문한 외국인 수가 3884만8994명으로 사상 최대를 달성한 영향이다.

닛케이는 “국제수지가 상품 및 서비스에서 투자 수익으로 중심축이 옮겨가는 흐름이 더욱 뚜렷해졌다”고 평했다. 또 “미국 의존에 역풍이 불기 시작하고 있다”면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발동으로 미국 내에서 수입품 가격이 상승하고, 소비침체 등에 따른 경기 후퇴가 우려되는 등 수익환경이 악화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2025년 3월 한 달 동안의 경상수지는 전년 동월 대비 6.7% 증가한 3조6781억 엔으로 조사됐다. 2개월 연속 흑자 흐름이다. 이중 무역수지는 5165억 엔 흑자로, 흑자 폭은 11.4% 늘었다. 제1차 소득수지는 3조9202억 엔 흑자로 8.7% 확대됐다. 서비스수지는 192억 엔의 적자를 나타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AI의 거짓말, 기후정책 흔들어…언론이 제자리 찾아야” [미리보는 CESS 2025]
  • 단독 美국무부 부차관보, 한화오션·KAI 둘러본다...DIU 고위인사도 첫 방한
  • 코요태 신지의 7살 연하 예비신랑, 문원은 누구?
  • 이란, 카타르 미군기지 공격…트럼프·하메네이, 휴전 입장 차
  • 뉴욕증시, 이란 제한적 보복에 안도…다우 0.89%↑
  • “이란·이스라엘 휴전?…유가 안정됐지만 불확실성 여전”
  • 동일본 이어 난카이 대지진도?…예언서 된 '내가 본 미래', 선배도 있다 [해시태그]
  • '소간지'에서 'K-존 윅'으로…배우 소지섭이 사는 한남더힐은 [왁자집껄]
  • 오늘의 상승종목

  • 06.24 13:1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096,000
    • +2.8%
    • 이더리움
    • 3,316,000
    • +6.42%
    • 비트코인 캐시
    • 633,000
    • +0.88%
    • 리플
    • 2,974
    • +5.57%
    • 솔라나
    • 198,100
    • +6.91%
    • 에이다
    • 802
    • +5.25%
    • 트론
    • 377
    • +1.62%
    • 스텔라루멘
    • 339
    • +5.6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580
    • +4.36%
    • 체인링크
    • 17,890
    • +9.75%
    • 샌드박스
    • 352
    • +7.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