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재 공세 지속…“대중 투자 규칙 마련 중”
8일 첫 무역 합의 예고…NYT, 영국으로 추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중 고위급 회담을 앞둔 7일(현지시간) 선제적으로 대중국 관세 인하 가능성에 선을 그었다. 양국 인사들이 협상 테이블에 앉기 전부터 기 싸움을 걸었다는 분석이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데이비드 퍼듀 주중 미국대사 선서식 행사에서 ‘중국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기 위해 수입품에 대한 145% 관세를 철회하는 데 동의하느냐’는 질문에 “아니다”라고 답했다.
트럼프는 또 ‘미국이 중국과의 협상을 위해 먼저 움직였다’는 중국 측 주장에 대해서는 “나는 그들이 돌아가서 자기들 파일을 다시 살펴봐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부인했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10일부터 스위스 제네바에서 허리펑 국무원 부총리 등 중국 대표단과 경제·무역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회동할 예정이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중국에 최대 145%의 관세를 때리고, 이에 중국이 125%의 보복관세로 맞선 이후 양국 정부 간 첫 공식 만남이다.
관련 뉴스
트럼프의 발언은 이번 회담에서 성과를 내기 위해 미국이 먼저 유화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을 것이라는 기조를 나타낸 것으로 풀이된다. 블룸버그는 “트럼프의 입장은 무역 문제에 있어 미국과 중국 간의 엄청난 간극을 부각하며 관세를 인하하는 합의에 도달하기까지 험난한 길이 이어질 것을 보여준다”면서 “장기적인 경제적 피해를 초래하기 전에 양측의 관세 충돌이 해결될 수 있다는 낙관론이 제기된 가운데 현실을 일깨워주는 경고”라고 해석했다.
션 스타인 미·중 경제협의회 회장은 이날 블룸버그 TV와의 인터뷰에서 “조만간 열릴 미·중 고위급 회담에서 양국 간 관세 유예가 합의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크다”면서 “다른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양측이 협상하는 동안 관세를 90일간 유예하는 것이 합리적인 기대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보다 못한 결과는 시장과 관찰자들에게 실망으로 받아들여질 것”이라며 “최악의 결과는 협상이 결렬되고 향후 협상 일정에 대한 발표도 없는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은 중국에 대한 제재 공세 고삐도 늦추지 않았다. 베선트 장관은 중국에 투자되는 미국 자금줄을 통제하겠다는 뜻도 공개했다. 그는 이날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청문회에서 “의원들과 협의해 중국에 대한 명확한 해외 투자 규정을 제정할 것”이라며 “이 해외 투자 안전 프로그램은 중국이 미국 자금의 혜택을 악용하는 것을 제한하는 새로운 국가 안보 도구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무역전쟁에서 포격을 집중하고 있는 중국과의 협상은 만만치 않을 것으로 관측되지만 다른 국가들과는 진전이 이뤄지는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는 이날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8일 오전 10시 백악관에서 규모가 큰 무역 합의와 관련한 기자회견을 연다”면서 “많은 국가 중 첫 번째”라고 알렸다. 뉴욕타임스(NYT)는 이에 대해 소식통을 인용해 해당 국가가 영국이라고 전했다. 이어 트럼프 행정부가 인도·이스라엘과의 합의 타결도 목전에 둔 것으로 보이며 한국·일본·베트남 등과도 계속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