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美 철강 관세 등 철강 산업 리스크 극복 방안 이달 중 마련"

입력 2025-03-13 10: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안덕근 산업장관, 철강업계와 간담회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3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미국 철강 관세 관련 업계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3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미국 철강 관세 관련 업계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

정부가 미국의 철강 25% 관세 부과 등 철강 산업의 리스크 극복 방안을 이달 안에 마련한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3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철강 업계 간담회를 열고 전날 미국이 발효한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조치 등 대응 방향을 공유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포스코 이희근 사장, 현대제철 서강현 사장, KG스틸 박성희 사장 등 철강 업계 대표와 이경호 철강협회 부회장,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미국은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2018년부터 모든 철강 수입에 25% 관세를 부과했으나 우리나라는 연 263만 톤 내에서 면제를 받아왔다.

그러나 이 같은 예외 조치가 모두 폐지될 것이 지난달 예고됐고 전일 우리시간 오후 1시부로 발효됐다. 이에 따라 한국산 철강이 미국에 수입될 시 232조에 따른 25%의 관세가 적용된다.

정부와 업계가 원팀으로 대응해 나가자는 취지로 마련된 이번 간담회에서 안 장관은 최근 방미 결과를 공유하고, 현재 방미 중인 통상교섭본부장을 비롯 고위급 교류를 통해 총력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안 장관은 "불공정 무역 시도가 더욱 빈번해질 것이 우려돼 정부는 이에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며 "불공정 수입에 대해 우회 덤핑, 수입재 모니터링 등 통상 방어 기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통상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업계 차원의 노력도 당부했다.

안 장관은 "높은 불확실성을 상수로 보고 고부가제품 중심 투자 및 수출 전략을 전향적으로 검토해달라"면서 "정부도 이러한 방향에 초점을 맞춰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날 확인된 업계 의견을 종합해 이달 중 철강 통상 및 불공정 수입 대응 방안에 반영할 방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관세전쟁에 내수부진 장기화까지...韓경제 짓누른 'R의 공포'
  • 대법, ‘이재명 사건’ 직접 결론낼까…최근 파기자판율 0% 가까워
  • 미국 경영진 체감경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악…줄줄이 전망 하향 조정
  • "마라톤 뛰러 미국 간다"…러너들이 가장 가고 싶어하는 해외 마라톤 대회는 [데이터클립]
  • “군 간부입니다” 믿었다가…진화된 ‘조직적 노쇼’에 당했다 [해시태그]
  • 국민의힘 4강 ‘토론 대진표' 확정...한동훈-홍준표 3시간 끝장 토론
  • ‘입시비리’ 조민, 2심도 벌금 1000만 원...법원 “원심판단 정당”
  • 폭력, 방화 그리고 살인까지…층간소음 갈등 원인과 해결 방법은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664,000
    • +5.87%
    • 이더리움
    • 2,564,000
    • +10%
    • 비트코인 캐시
    • 517,500
    • +3.52%
    • 리플
    • 3,226
    • +7.28%
    • 솔라나
    • 216,700
    • +7.6%
    • 에이다
    • 1,000
    • +9.89%
    • 이오스
    • 963
    • +4.9%
    • 트론
    • 354
    • -1.12%
    • 스텔라루멘
    • 385
    • +8.4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230
    • +5.08%
    • 체인링크
    • 21,090
    • +10.59%
    • 샌드박스
    • 427
    • +8.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