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진흥공사, 선박금융 등 올해 3.4조 지원…국제해운거래소 설립 추진

입력 2025-02-18 15: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안병길 사장, 출입기자단 간담회

▲안병길 한국해양진흥공사 사장이 1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5년 중점 추진사업 계획을 브리핑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해양진흥공사)
▲안병길 한국해양진흥공사 사장이 1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5년 중점 추진사업 계획을 브리핑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해양진흥공사)
한국해양진흥공사가 올해 선박금융 등에 3조4000억 원을 지원하고 국제해운거래소 설립을 추진한다.

안병길 해양진흥공사 사장은 1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해양수산부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중점 추진사업 계획을 밝혔다.

올해 공사는 △해양금융공급 확대 △글로벌 수준 해양정보 서비스 제공 △디지털 전환(DX) 지원 △친환경 대응 지원 △글로벌 역량 강화 등 5개 분야에서 총 3조4000억 원 규모의 사업을 추진한다.

우선 금융분야에서 선박금융에 약 2조1100억 원, 항만물류인프라금융에 7300억 원, 친환경대응에 3400억 원, 경영지원 금융사업에 1900억 원, 공급망안정화 금융사업에 1000억 원을 지원한다.

비금융분야에서는 글로벌 수준의 해양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해 해운항만물류 보고서와 선박가치평가서 발간, 국가필수선대제도, 글로벌저탄소대응지원사업, 우수선화주인증제도, 수출입물류 데이터 공유플랫폼 등을 추진한다.

특히 올해부터는 해양산업의 DX를 촉진하고 플랫폼 구축을 본격 지원하기 위해 이달 7일 조직개편을 통해 사장 직속으로 ‘해양DX전략실’을 설치했다. 또 AI 기반의 공급망 데이터 플랫폼 구축에 130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아울러 글로벌 시장 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해운거래소(가칭)’ 설립을 단계별로 추진해 해상운임, 친환경 연료, 탄소배출권, 폐선가 선도거래 등 해양파생상품거래 기반 마련에 착수할 방침이다.

공사는 올해를 2040년 자산 규모 100조 원(2024년 기준 13조 원), 직원 수 500명(올해 1월 기준 184명)의 글로벌 1위 종합해양지원기관으로 자리매김하는 원년으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안병길 사장은 "선박, 해양 인프라와 같은 금융사업 이외에도 변화하는 환경에서 해양산업이 잘 대응할 수 있도록 친환경 대응, 공급망 지원, 해양산업 디지털전환과 같은 신규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작년 고위공직자 재산 평균 20억6314만 원…6201만 원↑[재산공개]
  • 경북 의성 산불, 강풍 타고 안동 확산…4000여 명 긴급 대피
  • ‘무죄’ 뒤집힌 2심…이재명 대권 가도 ‘탄탄대로’
  • 임영웅, 세금 체납으로 51억 펜트하우스 한때 압류…"우편물 확인 못 해"
  • "요즘 야구에 '흥참동'이 웬 말"…모든 야구 팬들이 웃을 수 없는 이유 [이슈크래커]
  • "신차보다 중고차 살래요" 이유는? [데이터클립]
  • 단독 금융당국 '보험사기 블랙리스트' 검토 [8조 원의 행방上]
  • "숭어가 뛰니 망둥어도 뛴다"…숭어가 뛰어야 하는 이유 [레저로그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3.2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7,973,000
    • -1.04%
    • 이더리움
    • 2,969,000
    • -2.59%
    • 비트코인 캐시
    • 496,300
    • -0.32%
    • 리플
    • 3,533
    • -2.38%
    • 솔라나
    • 204,300
    • -4.44%
    • 에이다
    • 1,081
    • -2.26%
    • 이오스
    • 861
    • +1.65%
    • 트론
    • 340
    • +1.49%
    • 스텔라루멘
    • 424
    • -2.0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950
    • -1.26%
    • 체인링크
    • 22,520
    • -1.27%
    • 샌드박스
    • 458
    • +1.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