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가 더 어렵다"…건설업계, 올해 매출 목표 많게는 수조 원 낮췄다

입력 2025-02-09 09: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의 한 아파트 공사현장. (뉴시스)
▲서울의 한 아파트 공사현장. (뉴시스)

건설업계가 올해 연간 매출 목표를 지난해 실적보다 수천억 원에서 수조 원 이상 낮게 잡고 있다. 건설 경기 악화로 2023~2024년 착공 물량이 줄어든 영향이다.

9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삼성물산과 현대건설, 대우건설, DL이앤씨, GS건설 등 주요 건설사는 작년 매출보다 낮은 수치를 올해 목표로 제시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의 올해 매출 목표는 15조9000억 원으로 지난해 매출액 18조6550억 원보다 2조7550억 원 적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32조6944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는데 올해 목표는 이보다 2조3000억 원가량 적은 30조3837억 원으로 잡았다.

지난해 10조5036억 원의 매출을 올린 대우건설의 올해 매출 목표는 2조 원 이상 줄어든 8조4000억 원이다. DL이앤씨는 5000억 원 이상 축소된 7조8000억 원, GS건설은 2600억 원가량 줄어든 12조6000억 원을 올해 계획으로 제시했다.

대형 건설사들이 하나같이 매출 목표를 낮춘 것은 건설 경기 불황으로 사업장수가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건설사 착공을 한 이후 공사 진행률에 따라 수주액이 매출에 반영된다.

보통 매출은 해당연도를 포함해 최근 3년 치 누적 공사가 반영되는데 부동산 시장 침체로 주택 등의 2023~2024년 착공 물량이 급감했다는 게 건설업계의 설명이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1월 기준 국내외 현장이 200곳 이상이었으나 올해 1월 기준으로는 170여 개 정도로 줄었고 대우건설도 약 10% 감소했다. DL이앤씨는 지난해 착공 가구 수가 9119가구였는데 올해는 7940가구로 13%가량 축소됐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올해 매출로 잡혀야 할 시점의 착공 물량이 적었기 때문에 매출 감소는 피할 수 없을 것"이라며 "지금은 리스크 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몽글몽글한 그 감성…인스타 꾸미기 고민이라면, '디지털 레트로' 어떠세요? [솔드아웃]
  • 산불·관세전쟁에 12.2조원 추경…"성장률 0.1%p 상승 효과"[필수추경]
  • 비트코인, 미 증시 혼조에도 상승…8만 달러 중반 넘어서나 [Bit코인]
  • “세종시 집값 심상찮네”…대통령실 이전설 재점화에 아파트값 상승 전환
  • 제주 찾는 전세계 MZ 관광객...유통업계, 특화 마케팅 한창[K-관광, 다시 혼저옵서]]
  • 호텔신라 신용강등 위험… 회사채 수요예측 앞두고 악재
  • 오프로드ㆍ슈퍼카로 고성능 시대 연 제네시스…국산 차의 '엔드게임' 노린다 [셀럽의카]
  • '재개발 끝판왕' 한남뉴타운, 시공사 속속 정해져도...다수 구역 여전히 지연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368,000
    • -0.43%
    • 이더리움
    • 2,305,000
    • +0.39%
    • 비트코인 캐시
    • 495,000
    • +0.94%
    • 리플
    • 3,008
    • +0.17%
    • 솔라나
    • 193,900
    • -0.21%
    • 에이다
    • 908
    • +1.34%
    • 이오스
    • 908
    • -0.77%
    • 트론
    • 349
    • -2.79%
    • 스텔라루멘
    • 348
    • -0.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290
    • +1.72%
    • 체인링크
    • 18,290
    • +0.38%
    • 샌드박스
    • 376
    • +3.8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