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는샘물 시장 10년간 6배 성장…정부, 연내 '관리선진화 전략' 마련

입력 2024-11-04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먹는샘물 시장 4000억→2.3조…환경부, 제도개선 의견수렴

▲환경부 (이투데이DB)
▲환경부 (이투데이DB)

정부가 최근 10년간 가파른 성장세로 유통·규제물질 관리 등 제도 전반 개선이 필요하게 된 먹는샘물 시장의 관리 선진화 전략을 연내 마련한다.

4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환경부는 5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하는 '먹는샘물 관리 선진화 토론회'에서 논의된 민관 전문가 의견 등을 토대로 '먹는샘물 관리 선진화 전략'을 연내 발표할 계획이다.

이번 행사에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업무 담당자와 공공기관, 민간 협회, 환경영향조사 대행자, 먹는샘물 제조·수입·유통업계, 먹는물 수질검사기관 등 200여 명의 민관 관계자와 전문가가 참석한다.

국내 먹는샘물 시장은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10년간 약 4000억 원에서 2조3000억 원으로 5.9배 성장했다. 현재 △30% 이상의 국민 음용 비율 △온라인 직구·구매대행 등 유통경로 확대 △먹는샘물 미세플라스틱 등 미량 규제물질 관리 필요성 등의 이유로 관련 제도 전반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것이 환경부의 판단이다.

토론회는 3개 세션으로 진행된다. 먼저 첫 번째 세션에서는 샘물의 취수부터 먹는샘물의 제조·유통, 수질기준 등 먹는샘물 관리 제도 개선안을 논의한다.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등 국내외 인증제도를 참고해 먹는샘물 안심 인증제도 도입 방안 및 수출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타 업계 참고를 위한 △취수원 수원 관리(제주개발공사) △플라스틱 저감(롯데칠성음료) △플라스틱 재활용 활성화(스파클) 등 먹는샘물 업계의 자발적인 노력 사례가 소개된다.

세 번째 세션에서는 '먹는샘물 미세플라스틱 관리 동향'이라는 주제로 국립환경과학원 및 세계보건기구(WHO) 등 관련 국내외 기관의 최신 연구 동향과 분석법 등을 소개하고 이를 논의한다. 국립환경과핛원은 2022년부터 먹는샘물 내 20㎛ 이상 크기의 미세플라스틱을 조사하고 있으며, 중장기적으로 분석 가능한 입자 크기 및 방법 등을 개선하고 인체 위해성에 대한 연구도 진행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한 미세플라스틱 표준분석지침을 내년까지 마련할 예정이다.

이승환 환경부 물이용정책관은 "먹는샘물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전 세계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사망사고까지…싱크홀, 도대체 왜 발생하는 걸까? [해시태그]
  • 퇴직자·임직원 짜고 882억 부당대출…은행 대형비리 또 터졌다
  • '위기 속 빛난 이순신 리더십' 韓 기업 최초 2기 백악관 뚫은 정의선
  • 성장이냐 상품화냐…'언더피프틴'이 던진 물음표 [이슈크래커]
  • ‘1주년’ 맞은 아일릿 “힘든 일 많았지만, 함께여서 버틸 수 있었죠” [일문일답]
  • 영남권 중심으로 거세게 이어지는 산불…종합 피해 상황은? [이슈크래커]
  • 코인 묵히면서 벌자…파이 늘리고 싶은데 '파밍' 참여 망설였다면 [코인가이드]
  • "방송만 잘하는 게 아니네"…예능계 대표 MC 신동엽이 사는 '아크로리버파크'는 [왁자집껄]
  • 오늘의 상승종목

  • 03.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7,958,000
    • -0.59%
    • 이더리움
    • 3,047,000
    • -0.81%
    • 비트코인 캐시
    • 485,800
    • -0.39%
    • 리플
    • 3,587
    • -0.66%
    • 솔라나
    • 207,400
    • +0.34%
    • 에이다
    • 1,101
    • +2.8%
    • 이오스
    • 853
    • +0.95%
    • 트론
    • 336
    • -0.3%
    • 스텔라루멘
    • 430
    • +0.9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900
    • +0.78%
    • 체인링크
    • 22,610
    • +1.12%
    • 샌드박스
    • 447
    • +0.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