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매매량 양극화 심화… 대도시 ‘쑥’, 지방도시는 ‘뚝’

입력 2024-10-02 12: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량이 지역을 중심으로 극심한 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량이 지역을 중심으로 극심한 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전국적 부동산 침체가 시작된 2022년 이후 수도권, 광역시 등 대도시와 기타 지방 도시 간의 매매시장 분위기가 크게 갈리고 있다.

2일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23만6374건으로 2022년 상반기(18만4134건)보다 28.37%(5만2240건) 증가했다. 이는 최근 2년 사이 가장 높은 수치다. 2020년 하반기(48만1955건)로 역대 최다 매매량을 기록한 이후 감소세를 보이며 2022년 하반기 11만4447건까지 급감했으나 이후 상승 전환했다.

지역별로 보면 대도시의 강세가 두드러진다. 2022년 동기 대비 올 상반기 수도권과 지방 광역시는 총 6만2385건이 증가했지만, 도 단위 지방 도시는 1만145건 줄었다.

▲2022~2024년 전국 아파트 매매량 추이(반기별) (자료제공=부동산R114)
▲2022~2024년 전국 아파트 매매량 추이(반기별) (자료제공=부동산R114)

경기는 2022년 상반기(3만5549건)보다 2만7289건 늘어난 6만2838건이 거래되며 가장 큰 증가 폭을 드러냈다. 서울(9931건→2만4775건)과 인천(7928건→1만5562건)이 뒤를 이었다.

지방에서도 광역시의 매매거래량이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대구(5474건→1만2312건)와 대전(4166건→7147건), 부산(1만1501건→1만3889건) 등의 증가 폭이 특히 컸다. 대구에서는 달서구, 대전은 서구, 부산은 부산진구 등 주거 인프라가 잘 갖춰진 원도심 지역을 중심으로 다수의 매매가 이뤄졌다.

▲2022년, 2024년 상반기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량 비교 (자료제공=부동산R114)
▲2022년, 2024년 상반기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량 비교 (자료제공=부동산R114)

세종(1510건→2746건)과 울산(5585건→6969건)도 2년 전 같은 기간보다 거래량이 1000건 이상 증가한 도시로 꼽혔다. 광주의 경우 1570건(9848건→8279건) 줄어들며 광역시 중 유일한 감소세를 기록했다. 광역시를 제외한 지방 도시에서는 전남(8226건→8363건)이 유일하게 증가했고 나머지 7개 지역은 모두 감소했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2022년부터 급격한 내림세를 보여온 부동산 시장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점차 회복되는 모습”이라며 “광역시와 수도권 등 대도시는 신규 분양 단지가 조기에 완판되고 일부 인기 지역에선 프리미엄까지 붙지만 지방 중소도시들은 아직 하락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지역 간 양극화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최대 40만 원 인상’ 국가장학금…올해 2학기부터 얼마나 늘까? [경제한줌]
  • 여름 제철 ‘냉면 값’, 전국 광역지자체 대부분 1만원 웃돌아 [물가 돋보기]
  • 충청 이어 남부도 ‘물폭탄’ 예고…폭우 뒤엔 폭염 다시 찾아온다
  • 강선우·이진숙 ‘버티기’ 돌입...주말이 고비
  • 檢, 공소사실 추가했지만…대법 "이재용 혐의 전부 무죄"
  • 스타벅스, 또 프리퀀시 대란⋯불만 속출에도 ‘시스템 탓’
  • "통장 3개 중 1개 서울로"… 청약시장 수도권 쏠림 뚜렷
  • 엔비디아 훈풍에 잘나가던 반도체株…하이닉스 급락에 제동 걸리나
  • 오늘의 상승종목

  • 07.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3,538,000
    • +1.01%
    • 이더리움
    • 4,735,000
    • +3.5%
    • 비트코인 캐시
    • 683,000
    • -0.22%
    • 리플
    • 4,748
    • +13.83%
    • 솔라나
    • 239,700
    • +0.88%
    • 에이다
    • 1,127
    • +7.03%
    • 트론
    • 431
    • +2.62%
    • 스텔라루멘
    • 692
    • +10.37%
    • 비트코인에스브이
    • 39,710
    • -1.27%
    • 체인링크
    • 24,000
    • +5.17%
    • 샌드박스
    • 442
    • +1.3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