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행, 현금 배당 선호하는 투자자에게 좋은 선택지…목표가↑”

입력 2024-03-22 08:1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제공=IBK기업은행)
(사진제공=IBK기업은행)

키움증권은 22일 기업은행에 대해 자기주식 매입소각이 구조적으로 어렵지만 다른 은행주의 주주환원율 상향에 맞춰 배당성향을 올릴 수 있다면 배당을 선호하는 투자자에게는 좋은 투자 선택지가 될 수 있다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1만7000원에서 2만 원으로 16% 상향 조정했다. 전일 기준 현재 주가는 1만5160원이다.

기업은행의 올해 연결순이익은 2조8200억 원으로 2023년 대비 5.5% 증가해 사상 최고 실적을 이어갈 전망이다. 안정적 순이자마진(NIM)과 꾸준한 대출증가, 충당금비용 감소 등을 기대했다. 2023년 추가 충당금 외 경상적 충당금비용률은 0.38%로 양호한 수준을 유지했다. 2023년 약 9000억 원이었던 추가 충당금비용은 2023년 대비 올해 감소할 것으로 봤다.

오는 29일은 기업은행의 지난해 결산배당기준일이다. 주당 배당금은 984원으로 21일 종가 대비 배당수익률은 6.5%이다. 배당수익률이 높으면 투자자 입장에서는 배당락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은행주의 경우 배당락이 배당수익률의 장점을 희석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최근 양호한 은행주 투자심리를 감안하면 배당락 후 주가회복에 오랜 시간이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많은 은행주가 자기주식 매입 및 소각을 진행해왔고, 규모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김은갑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러한 상황에서 밸류업 정책이 이슈가 되면 기업은행은 배당성향 상향으로 타 은행주의 총주주환원율을 따라갈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봤다.

그는 "2023년 배당성향은 연결기준으로 29.4%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데, 향후 상승폭의 확대 가능성도 높아 보인다. 현금배당 선호도가 높은 투자자도 있기 때문에 현금배당만으로 주주환원율을 높이는 것도 투자자들에게 소구할 수 있는 특성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성장률 0%대 되나”…한은, '1.5%→?' 수정경제전망 주목
  • 엔비디아, 중국시장 절대 못 놓아…수출용 새 저가 칩 양산 착수
  • 홍준표 “이준석에 대한 투표, ‘사표’ 아니라 ‘미래 투자’”
  • AI 반등에 사활 건 카카오… ‘카나나’ 시험대 위로
  • 마약류 감정 6년간 3배 증가⋯압수품 3분의 1은 '신종마약'
  • 신유빈-유한나, 세계탁구선수권대회 4강서 아쉬운 패배…동메달 목에 걸었다
  • 청년 유입 없고 외국인 가득한 현장에 머리 아픈 건설업계
  • ‘런치플레이션’에 급식 시장 호조...업계 수익성은 희비교차, 왜?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0,900,000
    • -0.67%
    • 이더리움
    • 3,542,000
    • -0.48%
    • 비트코인 캐시
    • 577,500
    • -2.7%
    • 리플
    • 3,238
    • -1.04%
    • 솔라나
    • 241,400
    • -2.46%
    • 에이다
    • 1,047
    • +0.19%
    • 이오스
    • 1,056
    • +2.62%
    • 트론
    • 380
    • +0.26%
    • 스텔라루멘
    • 397
    • -0.7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350
    • -2.42%
    • 체인링크
    • 21,200
    • -1.49%
    • 샌드박스
    • 420
    • -1.8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