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위아, 주주 친화정책 긍정적…실적 개선 필요

입력 2024-02-01 08: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신한투자증권, 투자의견 ‘매수’ 유지…‧목표주가 7만5000원으로 하향

신한투자증권이 현대위아에 대해 주주 친화적 행보가 긍정적이라고 분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유지, 목표주가는 기존 8만 원에서 7만5000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전 거래일 기준 종가는 5만8300원이다.

1일 정용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4분기 실적은 매출 2조1000억 원, 영업이익 448억 원을 기록했다”며 “시장 기대치 대비 39% 하회한 수치”라고 했다.

정 연구원은 “자동차 부품 사업에서 다수의 일회성 비용이 발생하면서 부진한 실적을 보였다”며 “원가 정산과 임단협 반영 등 총 270억 원가량의 비용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그는 “사업부별로 보면 자동차 부품은 매출 1조9000억 원, 영업이익 410억 원을 기록했다”며 “일회성 비용과 엔진 사업부 외형 축소의 영향으로 영업이익률(OPM) 2.2%를 기록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기계 부문은 매출 2281억 원, 영업이익 37억 원으로 선방했다”며 “기존 공작기계 부문의 고질적인 저마진 사업이 축소됐고, 방산 수출 물량이 확대되면서 안정적인 흑자전환을 견인했다”고 덧붙였다.

정 연구원은 “지난해 주당배당금(DPS)을 850원으로 상향했고, 향후 경영 성과에 따라 자사주 매입‧소각 등을 검토하는 등 전향적인 주주친화정책을 보이고 있다”면서도 “현대위아의 손익 체력이 OPM 3% 내외에서 정체될 경우 주주환원에 동원될 수익이 크지 않다”고 했다. 손익 개선과 함께 주주환원정책이 실행돼야 시너지가 난다는 설명이다.

그는 “최근 자동차 부품 사업의 마진 개선이 정체된 가장 큰 원인은 해외 엔진 사업부의 부진”이라며 “올해 완성차의 신흥국 물량 개선이 담보되거나 기존 엔진 사업의 부진을 상쇄할 수 있는 신규 제품 확보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완성차의 신흥국 볼륨 회복 시점을 하반기로 가정했기 때문에 실적 추정치가 하향 조정됐다”며 “상반기는 방산‧로봇‧열관리 등 신규 사업의 모멘텀이 주가를 결정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고물가 시대, 싸게 생필품 구매하려면…유통기한 임박몰 이용해볼까 [경제한줌]
  • CDMO·시밀러 분리 선언한 삼성바이오, ‘글로벌 톱 바이오’ 승부수
  • 미국, 워싱턴D.C.서 총격 사건으로 이스라엘 대사관 직원 2명 사망
  • 선거 벽보 훼손하면 진짜 감옥 가나요? [해시태그]
  • 물벼락 맞을 준비 됐나요?…흠뻑쇼ㆍ워터밤이 세운 '여름 공식' [엔터로그]
  • "보라매공원 상전벽해"⋯역대 최대 규모 '서울국제정원박람회' 개막 [종합]
  • SKT 유심 교체 300만 명 돌파…"유심 배달 서비스 검토"
  • [르포] “삼성·LG가 왜 노트북을 만들어요?”…‘PC의 성지’ 대만 전자상가 가보니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5,066,000
    • +3.56%
    • 이더리움
    • 3,698,000
    • +6.48%
    • 비트코인 캐시
    • 606,500
    • +8.01%
    • 리플
    • 3,373
    • +2.12%
    • 솔라나
    • 249,200
    • +6%
    • 에이다
    • 1,120
    • +6.36%
    • 이오스
    • 1,061
    • +2.71%
    • 트론
    • 386
    • +3.49%
    • 스텔라루멘
    • 420
    • +4.2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350
    • +7.84%
    • 체인링크
    • 23,290
    • +5.43%
    • 샌드박스
    • 467
    • +7.3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