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코스피, 장초반 0.54%↓…기관 매도세에 하락

입력 2023-02-09 09: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스피가 장 초반 하락세다.

9일 오전 9시 27분 기준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3.34포인트(0.54%) 내린 2470.30을 나타내고 있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5억 원, 1094억 원어치 순매도하고 있는 반면, 개인은 1117억 원 순매수하고 있다.

전날 미국 증시는 구글의 급락세 등 영향으로 일제히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07.68포인트(0.61%) 내린 3만3949.01로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6.14포인트(1.11%) 떨어진 4117.86, 나스닥지수는 203.27포인트(1.68%) 하락한 1만1910.52로 각각 거래를 마감했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금일 국내 증시는 전날만큼 외국인 순매도세가 예상되지는 않지만, 개별 기업 이슈에 따른 차별화 움직임이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다만, 옵션만기일인 만큼 장중 지수 및 개별종목 파생상품 거래에 따른 변동성 발생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코스피 업종별로는 통신업(1.21%), 비금속광물(0.76%), 기계(0.71%), 운수장비(0.03%) 등이 오름세다. 서비스업(-1.92%), 증권(-0.88%), 전기전자(-0.86%), 보험(-0.71%) 등은 내림세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종목에서는 두산밥캣(4.59%), KT(2.37%), 포스코케미칼(1.55%), 한미약품(1.51%) 등이 강세다. 엔씨소프트(-6.95%), 크래프톤(-4.22%), SK바이오사이언스(-3.85%), 카카오뱅크(-3.72%) 등은 약세다.

같은 시각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69%포인트(0.09%) 하락한 779.29를 기록하고 있다. 개인은 467억 원 순매수하고 있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25억 원 228억 원 순매도하고 있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에서는 에코프로(7.58%), 미래나노텍(4.64%), 디어유(4.20%), 넥스틴(4.18%) 등이 강세다. 유진테크(-5.15%), 피에스케이(-4.03%), 위지윅스튜디오(-3.44%), 엔케이맥스(-3.38%) 등은 약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언제 붕괴될지 몰라"…금가고 무너지는 종로 충신1구역 가보니 [르포]
  • 임영웅, '모래 알갱이' 주요 음원사이트 1위…'따뜻한 감성' 통했다
  • AI와 사랑하는 시대?…월 40만 원에 구독하는 ‘완벽한 남편’
  • 가장 선호하는 반려견은 ‘몰티즈’, 고양이는?
  • “정유정 만날까 무섭다” 여대생들 과외 앱 삭제 러시
  • 고공행진 엔터주, 악재에 종목장세↑…‘옥석 가리기’ 시작하나
  • 엄현경♥차서원, ‘혼전임신’ 부모된다…“제대 후 결혼식”
  • 제니 배우 데뷔작 ‘디 아이돌’, 북미서 첫 방송…“수위 논란 떠나 공허해”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35,772,000
    • +4.72%
    • 이더리움
    • 2,488,000
    • +3.37%
    • 비트코인 캐시
    • 149,500
    • +3.32%
    • 리플
    • 698.4
    • +3.67%
    • 솔라나
    • 27,210
    • +2.06%
    • 에이다
    • 469
    • +0.21%
    • 이오스
    • 1,178
    • +5.84%
    • 트론
    • 103.2
    • -0.39%
    • 스텔라루멘
    • 117.7
    • +0.4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030
    • +1.74%
    • 체인링크
    • 8,305
    • +3.23%
    • 샌드박스
    • 711.7
    • +3.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