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 지난해 인구·일자리 늘었다

입력 2020-02-19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올해 '혁신도시의 지역경제 거점화 전략’ 마련ㆍ추진

▲2019년 말 혁신도시별 주요 현황.  (국토교통부)
▲2019년 말 혁신도시별 주요 현황. (국토교통부)

지난해 혁신도시의 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률이 목표치를 초과 달성하고, 입주기업이 2배 이상 늘어나는 등 '혁신도시 시즌2'의 성과가 가시화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인재 채용 비중이 특정 도시에 집중되고 수도권 이전 기업의 수가 아직 많지 않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정부는 올해 추가 지원 방안 마련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이전한 공공기관 109개가 채용한 7650명 가운데 1527명(25.9%)이 지역인재로 뽑혔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목표치 21%를 초과 달성한 수치다.

지역별 실적을 살펴보면 지역인재 채용풀이 가장 넓은 부산(35.7%)이 가장 높았고, 울산(27.2%)과 대구‧경북(26.9%), 강원(25.5%), 전북(25.5%)이 그 뒤를 이었다.

기관별로 보면 전체 109개 기관 중 60개 기관은 목표를 달성했으며, 2개 기관은 신규채용이 없었다. 47개 기관은 혁신도시법에 따른 지역인재 의무채용 대상이 없었다.

올해는 대전‧충청권 광역화를 계기로 광주‧호남권 및 울산‧경남 광역화를 추진해 보다 많은 학생들이 지역인재 의무채용제도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지난해 혁신도시 주민등록인구도 전년 말 대비 1만2177명이 증가해 20만 명을 넘어섰으며(20만4716명), 계획인구(26만7000명)의 76.4%를 달성했다.

혁신도시의 평균 연령은 33.5세로 우리나라 평균인 42.6세에 비해 매우 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만 9세 이하 인구가 17.7%를 차지해 전국 평균(8.3%)의 약 2배에 달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전 공공기관 직원들의 가족동반 이주율은 64.4%(기혼자 기준 51.4%)로 전년 대비 2.5%포인트 증가하는 등 지속 개선되고 있다.

또한 혁신도시 입주기업 수도 지난해 1425개 사로 2018년 말(693개 사)에 비해 두 배 넘게 증가했다. 다만 수도권에서 이전한 기업(15.7%, 224개 사)이 적고, 소규모 기업(30인 이하)이 다수를 차지(93.5%, 1333개 사)하고 있어 앞으로 해결해야할 숙제도 꼽힌다.

이에 국토부는 ‘혁신도시의 지역경제 거점화 전략’을 마련 중에 있으며, 지자체 및 LH, 관계부처 등과의 협의를 거쳐 계획을 보다 구체화시키고, 관계기관의 협조를 당부할 예정이다.

전략의 주요 내용은 △혁신도시 클러스터 활성화 △입주기업 인센티브 확대 △정주여건 개선 △산‧학‧연 협력 생태계 구축 등이다.

아울러 이전 공공기관 협력‧연관기업 등 타킷기업을 대상으로 맞춤형 방문 투자상담, 합동간담회(국토부‧지자체‧공공기관) 등도 개최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난 한 해 정부와 지자체, 공공기관 모두의 노력으로 지역인재 채용 확대, 정주인구 및 입주기업 증가 등 나름의 성과가 있었다”며 “올해 혁신도시 시즌2를 보다 속도감 있게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15:3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802,000
    • -3.23%
    • 이더리움
    • 4,560,000
    • -2.54%
    • 비트코인 캐시
    • 695,000
    • -4.66%
    • 리플
    • 760
    • -3.55%
    • 솔라나
    • 213,400
    • -5.87%
    • 에이다
    • 689
    • -5.23%
    • 이오스
    • 1,260
    • +2.36%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64
    • -5.2%
    • 비트코인에스브이
    • 97,250
    • -6.13%
    • 체인링크
    • 21,270
    • -3.8%
    • 샌드박스
    • 667
    • -6.7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