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승 靑 경제수석 “막연한 경제위기론 무책임…한국경제 오히려 선방하는 중”

입력 2019-10-13 17: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경제 상황 브리핑서 “디플레이션 우려 과도…정치권 경제 위기론은 다른 의도 있어”

▲이호승 청와대 경제수석(연합뉴스)
▲이호승 청와대 경제수석(연합뉴스)
이호승 청와대 경제수석은 13일 보수 야권과 경제전문가 일각에서 ‘경제위기론’을 제기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경제위기를 너무 쉽게 얘기하는 것은 무책임하다”고 비판했다.

이 수석은 이날 오후 춘추관에서 경제 상황에 관한 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말한 뒤 “나쁜 점을 계속해서 지적하고 나쁘다는 인식을 심으면 결국 그렇게 실현이 된다”며 “(실제로) 더 나빠졌을 때 피해를 보는 중소계층, 서민경제에 대해 누가 책임을 지느냐”고 지적했다.

이 수석은 경제상황에 대해 “우리 경제 실력은 (잠재성장률) 2.5% 정도 하면 무리하지 않는 최대치로 볼 수 있다”면서 “상대적으로 비교하면 (우리 경제는) 상당히 선방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한국 경제가 지난 2년간 하강국면에 놓인 배경에 대해 “수출의 20%를 점유하고 있는 반도체 산업이 빠르게 떨어지면서 우리 경제를 제약했다”고 설명했다.

이 수석은 야권을 중심으로 제기되는 경제 위기론에 대해 “솔직하지 못한, 다른 의도를 가진 발언”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정치적 공방에서 이기고 지고를 따지는 논쟁으로 경제 이슈가 많이 와전된 것 같다”면서 “(한국의 지표를 두고) 신용평가사나 국제기구나 국제적으로 객관적 상황을 아는 전문가가 한국 경제가 위기에 들어갔다고 말을 하느냐”고 반문했다.

또한 이 수석은 ‘한국경제가 이미 디플레이션(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에 진입했다’는 분석이 나오는 것에 대해 “단정적으로 말하는 것은 매우 심하다. 특히 경제전문가라면 그런 태도는 매우 위험해 보인다”며 ”9월 물가는 1~2개월 후면 사라질 물가이다. 사라질 현상을 놓고 디플레이션이라고 하는 것은 과도하다”고 선을 그었다.

이 수석은 브리핑에서 일본 수출규제와 관련한 설명도 덧붙였다. 그는 “외교·통상 분야 실무자 간 대화는 있다. 이달 22일 일왕 즉위식이 계기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다. 하지만 지금까지 (일본 측에서) 별 이야기가 없는 것을 보면 특별한 계기가 되기 어려울 것 같다”며 “해결의 실마리는 상대편(일본)이 가지고 있다. 섣부르게 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종합] "대중교통 요금 20% 환급"...K-패스 오늘부터 발급
  • "뉴진스 멤버는 쏘스뮤직 연습생 출신…민희진, 시작부터 하이브 도움받았다"
  • "불금 진짜였네"…직장인 금요일엔 9분 일찍 퇴근한다 [데이터클립]
  • 단독 금융위, 감사원 지적에 없어졌던 회계팀 부활 ‘시동’
  • "집 살 사람 없고, 팔 사람만 늘어…하반기 집값 낙폭 커질 것"
  • "한 달 구독료=커피 한 잔 가격이라더니"…구독플레이션에 고객만 '봉' 되나 [이슈크래커]
  • 단독 교육부, 2026학년도 의대 증원은 ‘2000명’ 쐐기…대학에 공문
  • 이어지는 의료대란…의대 교수들 '주 1회 휴진' 돌입 [포토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4.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496,000
    • -2.67%
    • 이더리움
    • 4,570,000
    • -1.53%
    • 비트코인 캐시
    • 701,500
    • -4.43%
    • 리플
    • 774
    • -3.25%
    • 솔라나
    • 218,100
    • -3.62%
    • 에이다
    • 696
    • -4.53%
    • 이오스
    • 1,202
    • -1.15%
    • 트론
    • 166
    • +0.61%
    • 스텔라루멘
    • 168
    • -0.59%
    • 비트코인에스브이
    • 99,700
    • -3.95%
    • 체인링크
    • 21,290
    • -4.06%
    • 샌드박스
    • 682
    • -3.8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