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신용보고] 미 연준 금리 정상화에도 자본유출 가능성 제한적

입력 2017-04-28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 연준(Fed)이 정책금리를 인상해 나가더라도 한국에서의 대규모 자본유출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 나왔다.

28일 한국은행이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 따르면 외국인투자자금 유출입 결정요인과 과거 대규모 자본유출 사례, 현재의 대내외 경제상황 등을 종합해볼 때 미 연준의 통화정책 정솽화는 자본유출 압력을 높이는 요인이긴 하나 대규모 유출로 이이어질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윤면식 한은 부총재보는 “지금까지 연준은 점진적인 인상 기조를 이야기하고 있고 시장도 큰 충격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연준이 신중한 커뮤니케이션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이런 상황을 가정할 때 자본유출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은행)
(한국은행)
우선 내외금리차 역전시에도 한미간 장기시장금리가 강한 동조화를 보여 온 점을 감안하면 향후 내외금리차 역전은 점진적이고 그 폭도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외국인 채권투자자금의 안정성이 과거에 비해 높아진 것도 이를 뒷받침하는 요인으로 꼽았다.

실제 2016년말 현재 전체 투자자금의 27% 수준인 외국인 채권투자자금도 최근 내외금리차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민간자금보다는 장기투자 성향인 공공자금이 크게 늘었고, 외국인 보유채권의 잔존만기도 장기화하고 있는 중이다.

또 최근 신흥시장국 경제 취약성이 과거 국제금융시장 불안시기에 비해 개선됐다는 평가다. 실제 국제금융협회(IIF)가 발표한 신흥시장국 취약성 평가에 따르면 평가대상 13개국 중 8개국에서 대외 또는 금융 부문이 금년 들어 개선됐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대외건전성 지표인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경상수지 비율이 IIF의 매우양호 기준(3% 초과)을 상회하고 있어 과거 자본유출기 및 여타 신흥시장국과 비교할 때 양호했다.

아울러 2016년말 현재 3728억달러에 달하는 외환보유액은 총외채 규모에 근접하고 있고, 단기 대외지급능력 비율도 172.8%를 기록해 2011년말 현재 113.9% 대비 높은 수준을 기록 중이다.

다만 일부 신흥시장국 금융시장이 불안해질 경우 그 전염효과로 우리나라에서도 자본유출 압력이 커질 가능성은 있다는 판단이다. 이에 따라 위험요인의 전개 상황을 점검하고 중기적으로는 국내 경제의 구조적 취약성을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일릿 카피 때문" 민희진 주장 반박한 하이브 CEO…전사 이메일 돌렸다
  • 임영웅·아이유·손흥민…'억' 소리 나는 스타마케팅의 '명암' [이슈크래커]
  • 중소기업 안 가는 이유요?…"대기업과 월급 2배 차이라서" [데이터클립]
  • 윤보미·라도, 8년 열애 인정…"자세한 내용은 사생활 영역"
  • 단독 ‘70兆’ 잠수함 사업 가시화…캐나다 사절단, K-방산 찾았다
  • 단독 삼성전자 엄대현 법무실 부사장, 이례적 ‘원포인트’ 사장 승진
  • U-23 아시안컵 8강 윤곽…황선홍 vs 신태용 ‘운명의 대결’
  • KIA, 키움 상대로 시즌 첫 20승 고지 밟을까 [프로야구 23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4.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620,000
    • -0.34%
    • 이더리움
    • 4,568,000
    • -1.89%
    • 비트코인 캐시
    • 735,000
    • -0.81%
    • 리플
    • 793
    • +2.59%
    • 솔라나
    • 222,300
    • -0.45%
    • 에이다
    • 735
    • -0.14%
    • 이오스
    • 1,212
    • +0.83%
    • 트론
    • 163
    • +0.62%
    • 스텔라루멘
    • 169
    • +0.6%
    • 비트코인에스브이
    • 102,900
    • -1.06%
    • 체인링크
    • 22,210
    • -1.99%
    • 샌드박스
    • 697
    • -1.2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