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한국경제 핵심 대외변수 5가지는?

입력 2014-11-21 10: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세계경제 회복세 확대·선진국의 성장속도 차이·유가 하락·강달러·차이나 리스크 등

다사다난했던 올해가 저물어가고 있다. 특히 한국경제는 대외적 이슈에 상당한 영향을 받으며 울고 웃었다. 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미국의 양적완화 테이퍼링(점진적 양적완화 축소)를 기점으로 중국 경제상황과 국제 환율 리스크 등이 올 한해 한국경제 곳곳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최근 이웃나라 일본이 예상밖 추가 부양을 내놓는 바람에 한국 원화 가치는 곤두박칠치기도 했다. 그렇다면 내년 국제금융시장과 한국경제 방향을 좌우할 대외적 핵심 변수들은 무엇일까?

◇ 세계경제 회복세 확대될까 = 우선 세계경제의 회복세가 확대될지 여부가 가장 관건이 될 전망이다.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2015년 글로벌 경제에 영향을 미칠 키워드로 ‘경제 회복 확대’를 꼽았다. 글로벌 경제성장의 원동력인 미국이 내년에도 계속 성장세를 유지할 것인지, 올해와 달리 일본과 유로존(유로화 사용 18개국)이 부진을 딛고 회복국면으로 접어들 것인지가 글로벌 경제에 관건이 될 것이란 설명이다. 골드만삭스는 “앞으로 선진시장의 움직임이 전반적으로 좋아질 것”이라면서 “중국의 성장속도가 더욱 둔화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다른 신흥시장이 선진시장의 회복세에 힘입어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내년 세계 경제 전망은 그리 밝지만은 않다. 주요기관들은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이 3.8%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국제금융센터는 실제 세계 경제가 전망보다 더 낮은 반등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세계경제 반등의 열쇠는 주요국에 있으나 이들의 회복세가 아직 뚜렷하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 선진국의 성장속도 차이 =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의 성장속도 차이도 글로벌 시장은 물론 한국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디플레이션 우려에 발목이 묶인 유럽경제가 이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미국과 경제성장률 격차는 내년에 더 벌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이들의 경제성장 격차는 환율과 증시 시장으로 이어져 전 세계 금융시장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10월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미국 성장률이 2.2%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한 반면 유로존은 0.8%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IMF는 또 미국의 내년 경제성장률이 3%, 유로존은 잘해야 1% 선에 턱걸이할 것으로 전망했다. 즉 미국과 유럽의 경제성장 격차가 올해 1.4%포인트대에서 내년 2%포인트대로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경제회복을 위해 미국과 유럽이 내놓은 정책의 방향이 정반대여서 이들 정책이 이들의 성장 속도 격차에 어떤 영향을 줄지도 핵심 변수다. 미국은 지난달 양적완화 프로그램을 종료를 선언, ‘돈 찍기’에서 손을 털었다. 기준금리도 내년 중반께 올릴 것으로 보인다. 반면 유럽중앙은행(ECB)은 저금리 기조를 유지, 미국식 양적완화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

◇ 유가 하락, ‘새 원유시장 질서’ 생기나 = 유가 하락도 내년에 글로벌 경제 핵심 키워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유가는 배럴당 100달러선이 무너진 데이어 이달 초 80달러 선이 무너져 현재 75달러 안팎으로 움직이고 있다. 미국의 원유 생산량 증가와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가격 인하 정책, 그리고 글로벌 경제 성장 부진에 따른 수요 감소가 맞물린 영향이다.

당장 오는 27일 오스트라 빈에서 열리는 OPEC 석유장관 회의에서 원유 생산량 감축 결정이 나올지 여부에 시장의 관심이 쏠렸다. OPEC의 감산 여부에 대한 시장의 전망은 제각각이다. OPEC이 글로벌 원유시장 점유율 확보를 위해 쉽게 감산 결정을 내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반면, 유가 하락세를 막고자 감산하는 방향으로 뜻을 모을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도 힘을 받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내년 중반에 유가가 배럴당 30달러 선으로 떨어지게 된다면 ‘새로운 석유시장 질서’가 정립될 것으로 전망했다. 은행은 “가파른 움직임 이후에 조정양상을 보이는 것은 당연하지만 이러한 조정폭은 예상보다 더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강달러로 주요국 환율 변동성↑ = 내년엔 강달러 기조로 주요국 환율의 급변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지난 10월 비전통적 통화정책인 양적완화를 종료하고 금리인상 시기를 타진함에 따라 앞으로 달러 가치의 방향성은 위쪽이다. 국제금융센터는 내년 6, 9월쯤에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내다봤다. 더군다나 일본과 유럽연합이 완화적 통화정책을 펼침에 따라 주요국 통화 대비 달러 강세 현상은 더 가파르게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국제금융센터는 “내년 주요국 환율의 급변 가능성이 커 개별 기업과 정부 차원에서 보수적인 환위험 관리가 필요하다”며 “특히 환율 변동성, 엔저 상황에 대한 대비 및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다만 올 하반기에 이미 상당 수준 달러화 강세가 진행돼 내년 미 경제가 강한 회복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달러 강세폭은 올해 수준을 상회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한다. 즉 달러 강세는 실물경제 회복 속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경기회복이 애초 기대에 못 미치면 달러 강세는 ‘소문난 잔치’에 그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중국경제 둔화 추세…장기화 불가피 = 한국 실물경제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는 중국경제의 내년 성장률이 7%대에 ‘턱걸이’를 할 전망이다. 중국의 경제둔화가 장기 추세에 접어든 가운데 대내외 요인에 따라 그 둔화 속도를 주시해야 한다는 진단이다.

주요 기관들은 중국의 성장률이 2013년 7.7%, 2014년 7.4%에 이어 내년에는 7.1%로 전망했다. 중국의 사회과학원도 2016~2020년 잠재성장률을 기존 7.1%에서 6.2%로 하향 조정했다.

더군다나 중국 정부의 지속 성장을 위한 구조개혁이 미진할 시에는 성장동력이 약화할 뿐만 아니라 거품 붕괴 등 경착륙 위험도 증대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중국 국무원발전연구중심은 정부의 개혁 조치가 미진할 시 장기성장률이 약 1.5%포인트 추가 하락할 것으로 분석했다.

그러나 중국 정부의 개혁정책은 한동안 경기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부동산 가격 억제는 ‘투자위축’을, 과잉유동성 억제는 ‘신용불안’을, 반부패 척결은 ‘소비위축’을 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형제자매에 무조건 상속 보장한 유류분...헌재 "위헌"
  • '빅테크 혼조'에 흔들린 비트코인, 변동성 확대…솔라나도 한때 7% 급락 [Bit코인]
  • 하이브 긴급 보도자료 "민희진, 여성 무속인에게 코치 받고 경영"…BTS 군대 문제도 논의
  • '범죄도시4' 개봉 2일째 100만 돌파…올해 최고 흥행속도
  • “안갯속 경기 전망에도 투자의 정도(正道)는 있다”…이투데이 ‘2024 프리미엄 투자 세미나’
  • "한 달 구독료=커피 한 잔 가격이라더니"…구독플레이션에 고객만 '봉' 되나 [이슈크래커]
  • 단독 교육부, 2026학년도 의대 증원은 ‘2000명’ 쐐기…대학에 공문
  • 양현종, '통산 170승' 대기록 이룰까…한화는 4연패 탈출 사력 [프로야구 25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801,000
    • -3.49%
    • 이더리움
    • 4,544,000
    • -3.17%
    • 비트코인 캐시
    • 692,000
    • -5.46%
    • 리플
    • 757
    • -4.18%
    • 솔라나
    • 212,400
    • -6.92%
    • 에이다
    • 686
    • -5.9%
    • 이오스
    • 1,264
    • +1.77%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65
    • -4.07%
    • 비트코인에스브이
    • 96,850
    • -6.7%
    • 체인링크
    • 21,260
    • -4.36%
    • 샌드박스
    • 664
    • -8.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