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찬 대표’ 샘표와 ‘밥 대표’ 쿠첸이 건강하고 맛있는 집밥 문화 확산을 위해 손을 잡았다.
샘표와 쿠첸은 ‘새미네부엌X쿠첸 집밥 팝업’을 열었다. 4월 25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된 팝업은 건강과 환경을 지키는 집밥의 매력을 알리고자 기획됐다. 집밥의 중요성을 되새기고, 쉽고 즐겁게 집밥을 만들 수 있는 솔루션을 제시하는 자리다.
정식 오픈 전인
농심은 뉴욕 내 한식당 4곳과 협업한 행사 ‘서울 인 더 시티(Seoul in the City)’가 현지 소비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고 2일 밝혔다.
서울 인 더 시티는 농심이 뉴욕 내 유명 한식당인 ‘소포’, ‘윤갈비’, ‘호족반’, ‘기사식당’과 함께 농심 대표 제품을 활용한 메뉴를 개발하고, 이들 매장에서 지난달 19일부터 이달 3일까지 2주
대용량 PB상품으로 호텔·식당 겨냥소매, K푸드 전면 배치하고 그로서리 확대현지 실적 3년 연속 증가해 성장곡선
롯데그룹 유통사업군이 성장이 정체한 국내 시장을 넘어 해외로 보폭을 넓히는 가운데 신동빈 회장이 인도네시아에 방문하면서 재계 시선이 집중된다. 롯데 유통군은 그동안 인도네시아에서 롯데마트를 중심으로 사업을 펴왔는데, 현지 시장의 특성을 반영해
CJ그룹이 전세계 골프 팬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PGA투어 '더 CJ컵 바이런 넬슨' 대회에서 K-컬쳐 홍보에 나선다.
CJ는 1일(현지시간)부터 나흘 간 미국 텍사스주 맥키니 TPC 크레이그 랜치에서 진행되는 더 CJ컵 대회 현장에 ‘하우스 오프 CJ(HOUSE OF CJ)’을 마련한다. 갤러리플라자에 약 625㎡(190평) 규모로 조성되는 하우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에도 지난달 한국 수출이 석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특히 반도체 수출이 4월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수출 증가세를 견인했다. 다만 대미 수출은 줄어 미국 관세 영향이 가시화하는 모습이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5년 4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4월 수출액은 582억1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3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과 함께 내달 19일부터 22일까지 케이스포돔과 핸드볼경기장 등 올림픽공원 일대에서 국내외 한류 팬과 K콘텐츠 및 연관산업 관계자가 모이는 '2025 마이케이 페스타'(MyK FESTA)를 개최한다.
1일 문체부에 따르면, 올해 처음 열리는 마이케이 페스타는 다양한 한류 콘텐츠를 한자리에서 보고, 듣고, 만날 수 있
동원F&B는 2025년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1조1948억 원, 영업이익 540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0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6.8%, 영업이익은 8.2% 늘었다.
별도 기준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5677억 원, 348억 원으로 각각 7.9%, 8.5% 성장했다.
회사 측은 조미식품과 펫푸드, 간편식(HMR) 등 식품 부문
가나 초콜릿, 출시 후 1초에 4개씩 팔려신동빈 롯데 회장도 가나 생산에 관심MZ세대 겨냥해 색다른 브랜드 경험 제공
출시 50주년을 맞은 롯데웰푸드의 대표 브랜드 ‘가나 초콜릿’이 브랜딩 강화에 나섰다. 가나 세계관을 확장해 ‘초콜릿 디저트’ 브랜드로 새로운 가치를 정립한다는 계획이다.
롯데웰푸드는 30일부터 6월 29일까지 ‘아뜰리에 가나: si
종합식품기업 팔도는 28일 인도네시아 최대 식품·유통기업 인도푸드 그룹과 ‘팔도 제품 판매 활성화 및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업무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행사는 양사 대표를 포함한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인도마르코 본사에서 진행됐다. 이번 계약을 계기로 팔도는 인도푸드의 유통계열사 인도마르코의 유통망을 활용해 ‘귀여운 내친구 뽀로로
K푸드 대표 주자 CJ제일제당의 근간에는 혁신 기술과 연구개발(R&D) 역량이 있다.
CJ제일제당은 국내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거나 치열한 선두경쟁을 펼치고 있는 제품들을 집중 육성해 해외시장의 장벽을 넘어 새로운 식문화를 전파한다. 이렇게 출시된 비비고 만두, 비비고 김치, 비비고 떡볶이 등 다양한 혁신 제품은 현재 국내외 식품시장의 성장과 혁
“쌀은 아무한테도 몬 파는 거 니 알제? 일본 관리가 와서 검사하는데 내가 큰일난다 안카나”“우리 딸내미, 쪼매 있다가 신랑 따라 일본갑니더. 제가 짜달시리 뭐를 해줄 형편은 못 되고, 우리 땅 쌀 맛이라도 뵈주고 싶습니더. 그거라도 멕이가 보내고 싶어예.”
애플TV 드라마 ‘파친코’에서 결혼한 선자를 일본으로 보내는 양진(선자 어머니)의 마음
"재해보상 현실화…스마트농업 확산 추진""농업인 퇴직연금제 도입…’햇빛연금’ 확대”"농정예산 정상화…쌀 적정가격 보장하겠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가 25일 기후위기 시대에 대응하는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K-농업강국 조성 5대 공약을 발표했다. 농업재해피해복구비 지원단가를 현실화하고, 농업인을 위한 퇴직연금제를 도입하는 등 내용이 담겼다
“씨름을 잘하던 선수한테 수영 시합을 해보라고 얘기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수영 시합에서 씨름 선수가 이길 수가 없죠. 저희가 이런 고통을 지금 맞이하고 있습니다.”
최태원 대한상공희의소 회장은 22일 국회에서 열린 ‘미래산업포럼’ 발족식 기조연설에서 “보호무역주의 시대가 향후 30년은 지속할 것”이라며 “한국이 지금까지 해왔던 사업 모델, 방법론들을
국내 대표 편의점 GS25가 베트남 하노이에서 역대 최고 수준의 성적을 냈다.
22일 GS리테일에 따르면, GS25는 베트남 하노이 매장의 일 평균 매출이 500만 원(한화 기준)을 넘어섰다. 현지 운영법인 베트남GS25는 3월 하노이에 6개 매장을 동시에 열었다.
호치민을 중심으로 베트남 남부 지역의 1위 편의점 브랜드로 부상한 이후 하노이를 교두
기업 간 거래(B2B) 식자재기업 푸디스트는 자체 브랜드(PB) ‘식자재왕’이 미국 본토에 진출한다고 2일 밝혔다.
푸디스트는 21일 서울 용산구에 있는 본사에서 경남무역, K2 트레이딩(K2 Trading Inc.)과 협약을 체결했다.
식자재왕은 지난해 미국령인 괌 진출에 이어 올해 미국 뉴욕, 뉴저지, 버지니아, 펜실베이니아, 조지아, 플로리다 등
삼성제약은 자사 상호 도용 및 유사 상표 사용 행위에 대해 국내에 이어 해외에서도 강력히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22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해외에서 판매 중인 제품 중 삼성제약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거나 삼성제약 상호를 도용한 가짜 제품 등을 철저하게 단속해 소비자들을 보호하고, 브랜드 가치를 지키기 위한 차원이다.
삼성제약에 따르면 최근 동남아를 중
CJ대한통운 건설부문이 ㈜농심의 울산 삼남 물류센터 신축공사를 수주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공사는 울산 울주군 삼남읍 삼남물류단지 내에 연면적 16만6694㎡(약 5만 평), 지하 1층~지상 10층 규모의 물류센터를 시공하는 프로젝트다. 공사 기간은 총 24개월로 5월 착공해 2027년 5월 준공 예정이다.
㈜농심 울산 삼남 물류센터가 들어설 위치
전 세계 식문화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건강하고 간편한 식생활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며, 음식은 단순한 섭취를 넘어 경험과 라이프스타일을 공유하는 수단으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K-콘텐츠의 확산과 함께 주목받는 K-푸드는 이제 글로벌 식품 시장의 트렌드를 이끄는 핵심 키워드로 자리매김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식품 산업 전반의 가치와 가능성을 소비자,
한국인의 라면 사랑은 유별나다. 세계라면협회(WINA) 통계에 따르면 성인 1인당 라면 소비량은 연간 78개로, 베트남(82개)에 이어 세계 2위로, 남녀노소 사랑하는 대표 메뉴다. 1963년 첫 개발한 다소 짧은 역사임에도 라면은 전세계인이 사랑하는 대표 K푸드로 급부상했다. 본지는 국내 라면 시장에서 한 획을 그은 대표 제품 25개를 선정, 출시 비화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가 문화·예술 분야 정책 공약을 발표했다.
공약에는 △K-콘텐츠 창작 전 과정 국가지원 강화 △세제 혜택 확대 △인재양성 지원 등이 담겼다.
이 예비후보는 18일 오전 자신의 SNS에 이 같은 내용의 정책발표문을 게시했다.
그는 "소프트파워 BIG 5, 확고한 문화강국으로 거듭나겠다"며 "우리 문화재정은 올해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