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용평가는 18일 교보자산신탁과 한국투자부동산신탁의 이슈어레이팅(Issuer Rating) 신용등급 전망을 기존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동시에 하향했다고 밝혔다. 양사의 신용등급은 각각 A-와 BBB+를 유지한다.
등급 전망 하향 사유는 부동산 신탁 사업의 비우호적 업황이 지속하면서 수익성이 악화했기 때문이다. 책임준공형(책준형) 개발신탁 우
NICE신용평가는 8일 한국자산신탁(KAIT)의 선순위 무보증사채 신용등급 전망을 기존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조정한다고 밝혔다. '부정적' 등급전망은 향후 6개월 이내로 KATI의 신용등급이 현행 'A'에서 'A-'로 강등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한국자산신탁은 2001년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의해 설립된 부동산 신탁사로 2011년 엠
독이 된 책임준공
고수익 노리고 무분별하게 확대무궁화신탁 작년 9건 준공기한 넘겨영업손실 1위 교보자산은 12건금융당국, 개선명령 등 조치 요구"수시검사 착수·모니터링 지속"
부산 사하구 장림동 829번지 부산제네시티 건설 현장. 지상 20층, 304가구 규모의 오피스텔은 2023년 12월 완공될 예정이었지만 1년 4개월째 입주가 미뤄지고 있다. 공사 대금
부동산 호황기 책준형 사업장 늘려 2023년 말 25조 육박…3년새 3배기한 내 준공 못하면 신탁사가 모든 책임 부동산 시장 장기 침체로 부실 확산대손충당금·신탁계정대여금 급증우발채무 위험 커져 신용등급 줄하향
부동산신탁사들이 수익성을 높이려고 책임준공형 관리형 토지신탁(책준형 토지신탁)을 크게 늘린 것이 부실의 도화선이 됐다. 업계 전문가들은 책준형 신
코람코자산신탁은 지난해 연결기준 582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흑자전환 했다고 4일 밝혔다.
코람코자산신탁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영업수익(매출액)은 전년 대비 약 67.7% 증가한 2116억 원이다. 당기순이익은 432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수년간 고금리와 부동산시장 침체로 부동산신탁사 수익이 지지부진한 상황과 대비된다.
코람코자
금융당국이 부동산신탁사의 토지신탁 리스크 관리 규정을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사업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는 위험액을 2027년까지 자기자본의 100% 이내로 제한하는 규정을 신설한다. 현재 ‘관리형’ 토지신탁에만 적용되는 순자본비율(NCR) 위험액 산정도 손해 배상 의무가 있는 모든 토지신탁으로 확대·적용한다.
20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이런
재무 건전성 기준치 미달해 ‘개선명령’ 금융위 “PF 연착륙 중 예견된 어려움”자본력 갖춘 제3자 정상화 노력 기대
금융위원회가 부동산신탁사인 무궁화신탁에 적기시정조치로 ‘경영개선명령’을 부과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지속하면서 유동성·건전성이 악화했기 때문이다. 무궁화신탁은 내년 1월 24일까지 제3자 인수 계획 등을 수립·이행해
부동산신탁사의 유동성이 저하되며 시장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집값 상승기 무리하게 수주한 책임준공 확약형 관리형 개발신탁(이하 ‘책준형 관리신탁’) 상품이 건설업계 부진, 주택시장 침체와 맞물려 재무 위기로 돌아오며 불안감이 증폭됐다.
6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올 상반기 14개 부동산신탁사는 2467억 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 이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 비율 5년 만에 최고치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기준에 따른 재평가, 책임준공형 관리형(책준형) 사업장 재분류 등 영향
고금리 장기화와 엄격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성 평가 기준으로 금융권의 대출의 부실 위험이 커지고 있다. 5대 금융지주의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NPL) 잔액은 지난 2분기 기준 12조원을 넘어섰으며,
코람코자산신탁(이하 코람코)은 나이스신용평가로부터 기업신용등급 ‘A(안정적)’와 기업어음 등급 ‘A2’를 획득했다고 4일 밝혔다. 이는 7년 연속 동종업계 최상위권 신용등급 평가다.
최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과 연체율 증가, 금리와 시공비 인상에 따른 책임준공형신탁사업 미이행 등으로 금융사들의 신용도가 줄줄이 하락한 상황에 받은 의미 있
상반기 신용평가에서 일반 기업과 비교해 금융사들의 신용등급 하향이 두드러졌다. 금리 인하가 지연되면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높은 증권, 캐피탈, 저축은행 업권의 잠재 부실화 우려가 커진 영향이다.
3일 신용평가업계에 따르면 국내 신용평가 3사(한국신용평가·NICE신용평가·한국기업평가)의 상반기 신용평가 등급 변동 결과 금융평가본부의 신
부동산 신탁사들이 공사 진행을 위해 자체 자금을 투입하는 규모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도 감소하고 있어, 신탁사에 기대 사업을 진행해왔던 건설업계의 시름도 커지고 있다.
30일 김성주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국내 신탁사 14곳의 신탁계정대 규모를 분석한 결과, 그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4조8551억 원에 달하는 것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로 책임준공 리스크를 떠안은 신탁사가 수백억 원 손해배상을 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14개 신탁사가 손해배상을 할 위험에 놓인 비용이 2조 원에 육박하면서 몇몇 신탁사들은 책임준공형 관리형토지신탁 수주를 중단하고 있다. 이에 건설공제조합이 책임준공 보증상품을 내놨지만 혜택을 볼 수 있는 건설사가 제한적이어서 중소건설
책준 기한 넘긴 PF 사업장 5조7000억 중 2조7000억 기한 임박책준형 신탁계정대, 본PF보다도 후순위…1.4%→13.6% 대폭 늘어'고정 이하' 책준형 사업장, 수도권 부실화가 더 심각...비주거비중 56%수도권 인건비 상승, 자재 조달 등 공정지연, 책준 사업장 부실 심화
부동산 신탁사가 보유한 국내 책임준공 관리형 토지신탁 PF잔액 규모가
부동산시장 불황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책임준공으로 인한 리스크가 커지는 가운데 부동산 신탁사들은 이로인한 어려움이 현재 진행형이다. 중소 건설사를 대신해 책임준공 의무를 떠안은 신탁사에 손해배상 소송이 제기된 것이다. 과거 신탁사의 몸집을 불려줬던 '책준신탁'이 소송비용까지 더해진 눈덩이로 신탁사를 덮치고 있다.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인천 원창동
채무 상환을 위해 공모채 시장에 등판한 건설사들이 엇갈린 성적표를 받아 들었다. 우수한 신용등급을 보유한 우량채에는 투자자들이 크게 몰렸지만, 비우량채는 철저히 외면당하면서 자금 조달 성패가 갈린 것이다. 건설채에 대한 투심이 너그럽지 않은 상황인 만큼 PF 리스크가 높은 비우량 건설사들의 회사채 흥행은 한동안 어려울 것이란 게 증권업계의 전망이다.
5
국내 부동산 신탁사 중 가장 우수한 자본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받는 한국토지신탁이 회사채 수요예측에서 대거 미매각 사태를 빚었다. 업계 전문가들은 수익성 하락과 더불어 신탁사의 책임준공 이슈가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했다. 최근 건설채에 대한 투자심리 위축이 신탁사까지 옮겨가는 흐름이 감지되면서, 연내 자금조달에 나선 기업들의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교보생명은 생보부동산신탁을 100% 자회사로 편입한다고 25일 밝혔다.
교보생명은 이날 이사회를 열고 삼성생명이 갖고 있던 생보부동산신탁 50%(50만주) 지분인수 안건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이날 삼성생명도 이사회를 열고 생보부동산신탁 보유지분 매각을 의결했다. 이로써 교보생명은 생보부동산신탁 주식 100%를 보유하게 됐다.
생보부동산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