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엿새 만에 미·일·중 정상과 통화를 마치며 주변국과의 정상외교에 물꼬를 텄다. 이 대통령은 한미 줄라이 패키지 타결 시한(7월 8일)을 약 한 달가량 앞두고 있는 만큼 당장 외교 핵심 축을 한미 관계에 둘 가능성이 높다. 다만 '국익 중심의 균형·실리외교'에 외교 기조의 무게추가 실려 있어 중국과의 관계 설정 등에도 상당한 공을 들일
한미, 7월 8일 시한 '줄라이 패키지' 실무협의 진행 중산업부, 기후에너지부 신설에 통상 개편까지?대통령실 내 '통상수석' 컨트롤타워 가능성 부상
미국이 예고한 국가별 개발 관세 부과 유예 시한이 한 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산업통상자원부의 통상교섭본부 조직 개편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미(對美) 관세 협상이 막바지 밀고 당기기에 접어든 상황에서 이
꼭 6개월이다. 지난해 12월 3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이은 탄핵 사태로 국가 수장의 자리가 비어 외교의 중심인 '정상외교(頂上外交)'를 수행할 수 없던 기간이다.
이 기간 한국의 통상 환경은 한마디로 난리통이었다. 통상 외교안보 협력 최우선 국가인 미국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했으며,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 폭탄'을 터뜨리는
국익과 원칙을 균형있게 고려하는 '가치기반 통상정책' 시험대7월 8일 시한으로 '패키지 딜' 협의…한미 3차 기술협의 일정 신속하게 잡아야
미국의 무차별 관세폭탄으로 글로벌 통상 대응이 그 어느때보다 중요한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 당선인이 대선 공약으로 제시한 ‘가치 기반 통상전략’을 통해 당면한 위기를 돌파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
"구체적 항목 공개 어려워…NTE 보고서 쟁점 인식 차 좁이는 데 주력""관세 철폐 원칙 강조, 3차 협의는 새 정부서 본격화”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추진하는 품목별·개별국가 상호 관세 문제를 조율하기 위한 한미 정부 간 2차 관세 기술협의가 마무리됐다. 정부는 이번 협의에서 한국에 부과된 상호관세를 포함한 모든 관세가 철폐돼야 한다는 입장을 일관되
제주 APEC 통상장관회의 15일 개막…21개국 통상장관·국제기구 고위급 집결미중 회담도 주목…관세 인하 후속 협의 관심
한국과 미국의 통상 수장이 16일 제주에서 머리를 맞대고 한미 통상 협의를 벌인다. 이에 지난달 워싱턴 '2+2' 통상 협의에서 합의된 7월 8일 시한의 '줄라이 패키지' 타결에 대한 실질적인 진전이 이뤄질 지 주목된다.
14일 산
미국의 무역·통상정책을 총괄하는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다음 주 제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에 참석차 한국을 찾는다. 그리어 대표의 방한 기간 한미 고위급 통상 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커 한미 통상 협의가 진전될지 이목이 쏠린다.
11일 통상 당국에 따르면 그리어 대표는 이달 15∼16일 제주에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미국의 관세조치와 관련해 "관계부처 간 긴밀한 공조를 통해 차분하게 미국과의 협의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이 권한대행은 7일 오전 9시 서울청사에서 미국의 관세조치 관련 협의 진행 상황 및 범정부적 대응체계를 점검하기 위한 경제안보전략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이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조태열 외교부 장
탄핵안 상정 최상목 경제부총리 사의 표명산업부 "정치적 상황에도 한미 실무 협의 차질 없이 진행"
트럼프의 무차별 관세 폭격에 대응하기 위한 '한미 2+2 통상 협의’가 시작 단계부터 불확실성에 직면했다. 한국 측 핵심 협상 당사자인 최상목 경제부총리가 사의를 표명하면서 향후 협의의 연속성과 일관성에 대한 우려가 크다. 다만 통상당국은 정치적 상황과는 별
정부가 미국의 관세조치에 대응하기 위한 실무 논의를 본격화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0일부터 5월 1일까지 미국 워싱턴 D.C.를 찾아 미 무역대표부(USTR)와 관세 관련 기술협의(technical discussions)를 연다.
이번 기술협의는 24일 열린 한미 ‘2+2 통상협의’ 및 장관급 면담의 후속 조치로, 양국이 7월 8일까지 도출하기로 합의
'줄라이 패키지' 논의 착수…'기술 협의-작업반 구성-장관급 협의' 진행6개 작업반 구성해 관세·비관세 등 본격 논의…조선·에너지 협력도 추진
한미 양국의 통상 협의가 속도를 내는 가운데 통상당국이 현 정부에서 무언가를 결정할 일은 없다고 못을 박았다. 한미가 '7월 패키지(July Package) 합의'를 결정함에 따라 6월 3일 대선 이후 차기 정부에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최근 합의한 '한미 통상 협의'와 관련해 "이번 주에 실무 협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된다"며 "실무 협의에서 구체적인 작업반을 확정할 예정"이라고 26일 밝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안 장관은 이날 오후 방미 귀국길 인천공항에서 이같이 말했다.
안 장관은 지난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4일(현지시간) "7월 8일까지의 '줄라이 패키지(July Package)' 도출을 목표로 향후 협의 방식, 범위에 대해 다음 주 중 양국 간 실무 협의를 진행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안 장관은 이날 미국 워싱턴 D.C.에서 '한미 2+2 통상 협의' 이후 주미 한국대사관에서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회담에서는 한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