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폭탄 대응 실무협의 시작…산업부, 워싱턴서 ‘기술협의’ 착수

입력 2025-04-30 10: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7월 협상 시한 앞두고 면제 요청 본격화…자동차·철강 등 품목 관세가 주요 쟁점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및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에 참석차 미국 워싱턴D.C를 방문중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함께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재무부에서 열린 '한-미 2+2 통상협의(Trade Consultation)'에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안 산업부 장관, 최 부총리,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 (연합뉴스)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및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에 참석차 미국 워싱턴D.C를 방문중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함께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재무부에서 열린 '한-미 2+2 통상협의(Trade Consultation)'에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안 산업부 장관, 최 부총리,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 (연합뉴스)

정부가 미국의 관세조치에 대응하기 위한 실무 논의를 본격화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0일부터 5월 1일까지 미국 워싱턴 D.C.를 찾아 미 무역대표부(USTR)와 관세 관련 기술협의(technical discussions)를 연다.

이번 기술협의는 24일 열린 한미 ‘2+2 통상협의’ 및 장관급 면담의 후속 조치로, 양국이 7월 8일까지 도출하기로 합의한 ‘줄라이 패키지(July Package)’ 마련을 위한 구체적 협의 틀을 구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기술협의 실무를 총괄하는 장성길 산업부 통상정책국장은 “이번 기술협의를 통해 미 관세조치 관련 협의의 윤곽을 확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국익을 최우선하는 방향으로 기술협의 등에 적극 참여해 상호관세 및 자동차·철강 등 품목관세는 물론, 향후 부과될 신규 관세 일체에 대한 면제를 요청해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산업부와 USTR은 앞서 ‘2+2 통상협의’에서 양국 통상 현안과 산업 전략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관세 대응을 위한 별도 작업반 구성에 합의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뽀빠이 아저씨’ 이상용, 오늘 별세…향년 81세
  • 김문수 측 “홍준표, 선대위원장 임명” 공지했지만…洪 '거절'[종합]
  • '50주년' 자라, 어떻게 패션의 '속도'를 바꿨나 [솔드아웃]
  • 손흥민·황희찬·김민재…유럽서 빛나는 한국 축구 기둥들의 최애 차량은 [셀럽의카]
  • 떠돌이 NC의 임시 홈구장은 롯데의 세컨하우스?...울산 문수야구장과의 두번째 인연 [해시태그]
  • 단독 검찰 “文, ‘태국 생활 자금지원 계획’ 다혜 씨 부부에 직접 전달”
  • 치매·요양보험 쏟아진다…맞춤형 상품으로 ‘눈길’ [그레이트 시니어下]
  • SKT '위약금 면제' 법률 검토, 6월 말 가능…"조사단 결과 나와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503,000
    • +1.16%
    • 이더리움
    • 3,284,000
    • +10.05%
    • 비트코인 캐시
    • 572,000
    • -2.47%
    • 리플
    • 3,300
    • +3.42%
    • 솔라나
    • 241,200
    • +6.68%
    • 에이다
    • 1,093
    • +4.79%
    • 이오스
    • 1,193
    • +1.02%
    • 트론
    • 366
    • +1.95%
    • 스텔라루멘
    • 413
    • +3.2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500
    • +2.4%
    • 체인링크
    • 22,490
    • +2.79%
    • 샌드박스
    • 461
    • +5.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