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비상장 주식 시장은 상승했다.
이날 38커뮤니케이션에 따르면 현대중공업 계열 조선업체 HD현대삼호는 호가 10만3500원으로 전거래일 대비 18.29% 올랐다.
HA필러 및 의료기기 제조기업 아크로스는 21만5000원으로 1.18% 올랐다.
온라인 패션 플랫폼 무신사는 호가 1만6800원으로 0.30% 하락했다.
플랜트 종합엔지니어링
코스닥 상장에 도전하고 있는 레이저·인공지능(AI) 기반 피부 치료 및 피부암 진단 전문기업 스페클립스는 최근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모의 기술성 평가에서 A등급을 획득했다고 19일 밝혔다.
스페클립스는 2023년 레이저 광학 연구개발 기업 케이엘과 합병을 계기로 펄스 레이저 기반의 의료기기 제조 플랫폼 기술을 완성하며 레이저 기반 피부 미용·치료 의료기
알테오젠(Alteogen)은 글로벌 탑10(top 10) 자동주사기 제조기업과 전략적 협업 논의를 본격화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논의는 보다 효과적인 피하주사(SC) 제형 개발을 위해 양사가 협력하고, 하이브로자임 플랫폼의 파트너사 및 예비 파트너사에게 효율적이고 다양한 사업 전략과 투약 옵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양사는 물질이전계약(mate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이 분당서울대병원과 손잡고 의료기기 산업의 기술력 향상을 위한 전주기 협력체계 확립에 나선다.
KCL은 16일 서초 행정동에서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과 의료기기 기술력 증진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의료기기 연구개발 및 사업화 공동지원 △사용적합성 및 시
탈모치료, 피부재생 등 항노화 솔루션 개발기업 이노진은 대한레이저피부모발학회(KALDAT)가 주최한 ‘2025 메디컬 프라임 카드(KALDAT Prime Card) 비전 선포식’에 제휴사 자격으로 참석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KALDAT 정회원과 26개 제휴사가 한자리에 모여 학회-산업계 협력 비전을 공유했다.
KALDAT 메디컬 프라임
의약품ㆍ의료기기 전문 기업 메타케어는 1분기 매출액 60억 원, 영업이익 5억 원을 기록했다고 16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23%, 영업이익은 47% 증가한 수치다.
회사 측은 주요 고객층인 종합병원 시장의 성장에 따라 의약품과 의료기기 공급 실적이 확대됐으며, 약국 대상 영업도 안정세에 들어서며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메타랩스는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84억 원, 영업손실 8억 원을 기록했다고 16일 밝혔다. 당기순손실은 약 7000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5% 이상 대폭 줄었다.
메타랩스 관계자는 "동사는 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전년 동기 수준의 매출 규모를 유지했으며, 본사 이전을 통한 임차료 절감, 수수료 구조 개선 등 경영 효율화 노력을 통해 당기순손실
뷰노는 인공지능(AI) 기반 흉부 X레이 판독 및 소견 검출 의료기기 ‘뷰노메드 체스트 X레이(VUNO Med®-Chest X-ray™)’가 6월 1일부터 비급여 시장에 진입한다고 15일 밝혔다.
이 제품은 흉부 X레이 영상을 분석해 5개의 이상 소견(결절, 경화, 간질성 음영, 흉막 삼출, 기흉) 유무를 검출하고 소견 조합을 통해 폐렴과 폐결핵을 선
15일 비상장 주식 시장은 전일과 동일한 호가였다.
38커뮤니케이션에 따르면 글로벌 자동차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아우토크립트가 코스닥 상장을 위한 정정신고서를 제출했다. 공모주는 신주로 총 140만 주를 모집하고, 공모청약은 내달 16~17일 진행될 예정이다.
기업공개(IPO)관련 상장 예비심사 청구종목으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UU) 전문업체 빅텍
자이글이 의료기기 광고심의 및 방송사 심의를 거쳐 프리미엄 고주파 의료기기 ‘자이글 온 네스트’의 인포모셜 홍보를 집행하고 있다고 15일 밝혔다. 방송은 케이블TV와 지상파에 송출하고 있으며 시청자의 관심과 반응이 높아지고 있다.
자이글 온 네스트는 고주파 기술을 활용하여 세포를 반응시켜 생기는 진동으로 체내 생체 열에너지 활성화하고 심부열을 발생시킴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3차원(3D) 유방단층촬영술 AI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DBT'의 의료기기 허가를 획득했다고 15일 밝혔다.
루닛 인사이트 DBT는 유방단층촬영술의 3차원 영상을 AI 기반으로 분석해 의료진의 유방암 진단을 보조하는 제품이다. 이 제품은 국내 유방암 진단 AI 솔루션으로는
키움증권은 15일 뷰노에 대해 분기 손익분기점(BEP) 달성과 미국 식품의약품청(FDA) 인증 획득이 주가 모멘텀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목표주가는 2만8000원으로 낮춰 잡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제시했다. 전 거래일 종가는 1만9330원이다.
뷰노는 1분기 연결기준 매출이 75억원을 기록했다. 작년 동기(55억원) 대비 36%, 지난 분기(71억원)
의약품 및 의료기기 제조·연구개발 기업 메타약품의 자회사 이젠임플란트가 17일부터 21일까지 전 세계 161명의 의료진을 초청해 ‘이젠(IZEN) 임플란트 연례 회의(IAM 2025)’를 개최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이젠임플란트 제품을 사용하는 해외 의료진에게 임플란트 관련 최신 임상 정보와 의료 동향을 제공하고, 회사의 미래 전략을 공유하
인스코비그룹 자회사 바이오 의료기기 전문제조기업 셀루메드가 자사 주력 제품인 골형성치료제 및 피부이식재의 안정적 생산을 위해 해외업체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글로벌 원재료 공급망을 강화한다고 14일 밝혔다.
원재료 공급망 강화는 고령화와 함께 정형외과 및 재건 수술 수요 상승에 따른 시장 확대 대응 전략의 일환이다. 기존 공급처와 신뢰를 유지하는 한편
LS증권은 14일 파마리서치에 대해 하반기 유럽 진출을 통해 고성장이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목표주가는 46만원으로 상향하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전 거래일 종가는 39만8000원이다.
파마리서치는 1분기 영업이익이 447억33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7.7% 증가했다. 매출액은 1169억10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6.5% 증가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뷰노(VUNO)는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으로 75억원을 달성했다고 13일 공시했다.
올해 1분기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36% 증가한 수치다. 또한 지난분기 대비 7% 증가한 실적으로 9분기 연속 매출 증가세를 이어갔다. 영업손실은 34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1% 개선됐다. 1분기 영업비용은 110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중국 테크 우량주에 집중 투자하는 ‘TIGER 차이나테크TOP10 상장지수펀드(ETF)’를 상장한다고 13일 밝혔다.
TIGER 차이나테크TOP10 ETF는 홍콩 상장 기업뿐 아니라 중국 본토에 상장된 기업들도 투자 대상으로 한다. 특히 ‘중국판 매그니피센트(M)7’ 기업에 집중 투자한다. 항셍테크에는 없지만 글로벌 전기차 1위인 비
제이앤피메디는 국내 제약·바이오·의료기기 업계의 준법 경영 지원을 강화하고 법적 리스크를 최소화하고자 '컴플라이언스 서비스 전담조직'을 공식 출범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전담조직은 정부 정책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은 물론 약사법 및 의료기기 법령상 허용되는 연구개발 비용 등 예외적인 지출 상황의 법적 기준을 명확히 제시하고, 합법적 지출과 불법적 행
스톤브릿지벤처스가 투자한 리브스메드의 몸값이 최초 투자 당시 300억 원보다 대폭 증가한 조 단위 몸값으로 상장이 추진된다는 소식에 상승세다.
13일 오전 10시 39분 현재 스톤브릿지벤처스는 전일 대비 320원(7.54%) 오른 4565원에 거래됐다.
앞서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리브스메드는 지난 7일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로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