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원 SK그룹 수석부회장의 장남 최성근 씨가 최근 SK에서 글로벌 사업 실무 경험을 마치고 진학을 준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11일 재계에 따르면 성근 씨는 최근 SK이노베이션 E&S의 북미 투자법인 패스키(Passkey)를 떠나 미국 하버드대 경영대학원(MBA) 진학을 앞둔 것으로 알려졌다.
1991년생인 성근 씨는 작년 7월 패스키에 입사해
엘앤에프와 LFP용 양극재 공급 MOU미국 시장 선제 대응 차원
SK온이 북미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을 겨냥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SK온은 10일 엘앤에프와 북미 지역 LFP 배터리용 양극재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서울 종로구 SK온 그린캠퍼스에서 진행된 업무협약에는 신영기 SK
LFP 신설법인 설립총 3365억 원 투자LFP로 ‘中 장악’ 중저가 시장 공략
엘앤에프가 10일 오후 열린 이사회에서 리튬·인산·철(LFP) 사업을 위한 신규법인 설립 및 신설 법인에 대한 지분 취득을 했다고 밝혔다. LFP 신설 법인 엘앤에프엘에프피(가칭)은 총 3365억 원을 투자해 최대 6만 톤 규모의 생산 능력을 갖춘다. 엘앤에프는 해당 법인에
‘일렉스 베트남 2025’ 참가 ···16일부터 사흘간 호찌민 SECC에서 개최 초고압변압기·전력관리 시스템·ESS 플랫폼 등 하이엔드 제품 대거 공개
LS일렉트릭이 16~18일 베트남 호찌민시 사이공전시컨벤션센터(SECC)에서 개최되는 '일렉스 베트남 2025'에 참가한다고 10일 밝혔다.
LS일렉트릭은 참가기업 최대 규모인 144㎡ 규모의 전시
이상기후로 친환경 에너지 전환 가속과 인공지능(AI) 기술 혁신이 맞물리며 ‘그린플레이션(Greenflation)’ 현상이 지속하고 있다. 알루미늄, 구리, 니켈 등 청정 에너지 인프라에 필수적인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서 녹색 전환의 비용 부담은 커지고 있지만, 오히려 미래 성장 투자 기회로 삼으려는 인식이 확산하면서 녹색투자 영역도 넓어지고 있다.
미
中 CATL, 한국 인재 정조준국내 배터리 업계 ‘상시 채용’으로 인재 선점
국내 이차전지 기업들이 인력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세계 최대 배터리 기업인 중국 CATL이 국내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 관련 인재 영입에 나서며 사업 확장 의지를 이어가는 가운데, 국내 주요 배터리 기업도 채용 행보를 이어가는 모양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
하반기 실적 눈높이 ‘뚝’…목표주가 줄하향, 회복세 제한적 평가PBR 역사적 하단 근접…일각선 “주가 하단 견고” 반등 기대감
국내 배터리 업계를 이끄는 삼성SDI에 대한 실적 기대치가 점차 낮아지고 있다. 경쟁사인 LG에너지솔루션이 기대 이상의 실적을 발표하며 반등에 나선 것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삼성SDI의 목
에쓰오일은 스마트그리드 전문기업 지투파워와 액침냉각 기술 기반의 에너지저장장치(ESS) 개발 및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에쓰오일의 액침냉각유 ‘S-OIL e-Cooling Solution’을 적용해 지투파워가 인공지능(AI) 제어 기반의 액침냉각형 ESS 신제품을 성공적으로 개발한 데 따른 것으로, 양사는 이번 협
케이지에이가 LFP(리튬ㆍ인산ㆍ철) 기반 친환경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케이지에이는 이차전지 전문기업 ‘쉐메카’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양사가 최근 개발한 양극재 수계공정화 기술의 고도화 및 상용화를 핵심 골자로 한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수계공정 기반 양극재 기술 관련 공동 연구
경기도와 고양특례시, 한국전력공사, LS ELECTRIC(엘에스일렉트릭)이 국내 최초로 공유형 ESS(에너지저장장치) 실증사업을 추진한다.
8일 경기도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공공기관 등에 ESS를 설치해 전력이 과잉 생산되는 시간대에는 저장하고, 수요가 급증할 때 저장된 전력을 방출하는 등 전력망 안정성과 전기요금 절감 효과를 동시에 노리는 내용이다.
2분기 잠정 영업익 4922억…컨센서스 상회정책 불확실성 속 ESS 라인 전환 등 생산 리밸런싱 성과유럽 LFP 공급·북미 ESS 생산 본격화로 실적 개선 전망
LG에너지솔루션이 6개 분기 만에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보조금을 제외하고도 흑자를 기록했다. 견조한 북미 시장 수요가 이어지는 가운데 에너지저장장치(ESS) 생산라인 전환 등 전략적
제주도가 태양광 에너지로만 감귤을 재배하는 실증사업에 나섰다. 전국 최초다.
7일 제주도에 따르면 제주농업기술원의 재생에너지 100%(RE100: Renewable Energy 100%) 감귤 생산 실증 현장을 최근 방문해 탄소중립 농산물 생산 확대 의지를 재확인했다.
현장 방문은 민선 8기 출범 3주년 '민생로드'의 네 번째 일정으로 진행됐다.
AI 데이터센터 필수 인프라로 부상한 무정전 전원장치납축전지·디젤엔진→리튬이온배터리로⋯장수명·고효율글로벌 배터리 기업도 UPS 배터리 시장 진입 본격화
인공지능(AI) 시대의 핵심 인프라인 데이터센터는 단 1초도 전력이 끊기면 안 된다. 전력 공급이 불안정해도 서버가 꺼지지 않도록 하는 장치가 바로 무정전 전원장치, 이른바 'UPS(Uninterrup
LS증권은 4일 삼성SDI에 대해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4000억 원이 넘는 영업손실을 기록할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15만9000원으로 기존 대비 하향 조정했다. 투자의견은 보류(HOLD)를 유지했다.
정경희 LS증권 연구원은 "2분기 매출액은 전기차(EV) 대상 이차전지 부진으로 전년대비 18% 감소할 것으로 추정한다"며 "EV향 주요 고객이 럭셔
배터리 판매 둔화·원재료 가격 하락 '이중 압박'2분기부터 美ESS 신규 라인 조기 가동 IRA 불확실성 속 ESS 시장 선점 효과 주목
LG에너지솔루션이 다음 주 초 올해 2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한다. 유럽 고객사의 재고 조정이 지속된 가운데, 북미 에너지저장장치(ESS) 신규 라인 가동 효과로 시장 기대치에 부합하는 성적을 낼 것으로 보인다.
하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이 전기차 충전기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OCPP 인증서’를 국내 최초로 발행하며, 중소벤처기업의 전기차 충전 시장 진출을 본격 지원한다.
KTL은 전기자동차 완속 충전기 제품에 대해 제1호 OCPP(Open Charge Point Protocol) 인증서를 발행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인증은 국내 공공 종합시험인증기관 최초
정부가 본격적인 전기 중심 산업 구조로의 전환을 맞아 에너지 시스템 전반의 대개편을 예고했다.
이호현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1일 취임사를 통해 “에너지와 산업의 대전환 앞에서 눈을 감거나 외면할 수 없다”며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RE100 산단 조성, 에너지 신산업 창출이라는 중대한 과제에 산업부가 주도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차
글로벌 이차전지 전해액 선도기업 엔켐이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라 최대 1985만 달러(약 268억 원) 규모의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를 수령하게 됐다. 국내 전해액 제조사 가운데 유일하게 미국 현지 생산 인프라를 기반으로 실현한 사례로 북미 시장 내 엔켐의 독보적인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전망이다.
엔켐은 조지아주에 있는 공장에
신한투자증권은 30일 산일전기에 대해 올해 분기별 매출 성장 및 하반기 성장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관세 영향이 제한적인데다, 신재생과 전력망 수요가 모두 견조할 것이란 전망이다. 목표주가는 10만8000원으로 상향하고 투자의견 '매수'를 제시했다. 전 거래일 종가는 8만4200원이다.
최승한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산일전기 송배전 전력망 매출
기후위기 속 AI 전력수요 급증 대응책 마련재생에너지 확대·ESS 활용 스마트그리드 구축데이터센터와 전력망 협력으로 탄소중립 추진
이재걸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전력계통연구소 계통해석팀장은 26일 "AI산업의 폭발적 성장으로 2030년까지 데이터센터가 연간 1.24억톤의 탄소를 배출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 전력망과 AI산업이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