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 앞둔 페이스북…10조원 어디에 쓸까

입력 2012-02-03 08:5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모바일·데이터·광고·인재 등에 투자할 듯

▲페이스북은 IPO와 보유 현금 등을 합쳐 90억달러의 자금을 확보할 전망이다. 이에 페이스북이 막대한 자금을 어떤 용도에 쓸 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사진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먼로파크에 있는 페이스북 본사 앞에 위치한 ‘좋아요’간판. 블룸버그

상장을 앞둔 페이스북이 막대한 자금을 확보한 후 어디에 쓸 지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페이스북은 기업공개(IPO)를 통해 50억달러를 조달할 계획이다.

현재 40억달러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페이스북은 90억달러(약 10조원)의 자금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고 2일(현지시간) CNN머니가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페이스북이 막대한 자금을 모바일·데이터·광고·인재 등 크게 네 가지 분야에 사용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페이스북은 1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IPO 신청서에서 “우리는 현재 모바일 분야에서 의미 있는 매출을 올리지 못하고 있고 이 분야에서 성공할 수 있을 지 증명하지 못했다”라고 인정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모바일 분야에 대한 투자와 성과가 아직은 미흡하다는 점을 시인한 것이다.

페이스북은 아직 모바일 기기 고객을 대상으로 한 광고사업은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 분야는 회사에 큰 성장 기회를 줄 수 있다는 평가다.

회사의 가장 큰 경쟁력은 8억4500만명에 달하는 회원들로부터 나오는 방대한 데이터다.

페이스북은 이들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통합하기 위한 투자를 확대할 것이라고 CNN머니는 전했다.

광고는 페이스북의 가장 큰 매출원이다.

회사의 지난해 매출에서 광고가 차지하는 비중은 85%에 달했다.

광고주를 끌어오기 위해 페이스북은 효율적인 광고 수단 개발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페이스북은 지난해 초 ‘스폰서 스토리’라는 새 광고플랫폼을 선보였다.

사용자가 특정 브랜드에 대한 글을 올리면 스폰서 스토리에서 해당 브랜드 광고가 뜨고 페이스북 친구들이 이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페이스북은 또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벤처기업을 통째로 인수하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회사는 현재 최고기술책임자(CTO)를 맡고 있는 브렛 테일러를 데려 오기 위해 그가 설립했던 프렌드피드를 지난 2009년 인수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예금보호 한도 상향 검토한다는 미국…한국은 여전히 ‘고민 중’ 왜?
  • “부탁드려요”…자녀들이 애타게 임영웅을 찾는 이유
  • “초록벚꽃을 아시나요?” 무궁무진 벚꽃 세계…‘벚꽃 경제’도 활짝
  • 전지현·강동원 역대급 조합 나오나…“드라마 ‘북극성’ 출연 검토 중”
  • [영상] '전두환 손자' 전우원, 귀국 후 긴급체포…"수사받고 나와 5·18 유족에 사과할 것"
  • 단독 검찰 'SK-알케미스트 거래 의혹’ 동부지검 형사6부 배당
  • 내년 예산도 건전재정…수출ㆍ약자복지ㆍ3대 개혁 집중투자
  • 북한, 전술핵탄두 전격 공개…핵공중폭발 시범사격 진행
  • 오늘의 상승종목

  • 03.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35,702,000
    • -2.58%
    • 이더리움
    • 2,310,000
    • -0.73%
    • 비트코인 캐시
    • 160,100
    • -1.6%
    • 리플
    • 660.6
    • +3.43%
    • 솔라나
    • 26,630
    • -1.92%
    • 에이다
    • 475.7
    • +1.39%
    • 이오스
    • 1,458
    • -3.57%
    • 트론
    • 84.7
    • -0.26%
    • 스텔라루멘
    • 125.6
    • +0.6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740
    • -2.09%
    • 체인링크
    • 9,095
    • -3.4%
    • 샌드박스
    • 798.5
    • -1.6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