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바이오메딕스 “파킨슨병 세포치료제 업계 긍정적 평가...글로벌 사업화 강화”

입력 2025-06-25 08: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바이오 USA 2025 참가...제약ㆍ바이오 기업과 파트너링 미팅

에스바이오메딕스는 16일부터 19일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세계 최대 바이오 산업 행사 ‘BIO International Convention 2025(BIO USA 2025)’에 참가해 주요 글로벌 제약ㆍ바이오 기업들과 파트너링 미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25일 밝혔다.

BIO International Convention은 전 세계 2만여 명의 바이오 업계 리더들이 참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 비즈니스 행사로, 신약 개발 동향 공유와 파트너십 기회를 모색하는 주요 무대다.

에스바이오메딕스 관계자는 “이번 행사를 통해 회사의 파킨슨병 세포치료제 ‘TED-A9’에 대한 업계의 높은 관심과 긍정적인 평가가 확인됐다”며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사업화 전략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행사에서 줄기세포 기반의 파킨슨병 치료 기술을 소개하며 글로벌 제약사 및 투자자들로부터 주목을 받았다”며 “국내 바이오 기업으로서 유수 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세계 최대 바이오 행사에서 기술력과 혁신성을 입증하며 글로벌 입지를 재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에스바이오메딕스는 행사 기간 동안 미국, 독일, 일본, 중국, 덴마크 등 다양한 국가의 글로벌 대형 제약·바이오 기업들과 파트너링 미팅을 진행했다. 주요 파이프라인과 재생의료 플랫폼에 대해 소개했고 각국의 주요 기업들은 TED-A9을 포함한 세포치료제 기술에 큰 관심을 보이며 공동연구, 기술이전 등 다양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또 글로벌 투자은행 및 전문 펀드들과도 논의가 이뤄졌다. 참석한 파트너들은 임상 개발 계획, 제조 전략, 상업화 모델, 지역별 협력 체계 등 실질적인 논의가 진행됐다. 미국, 일본, 중국 등 주요 시장을 중심으로 지역별 사업화 전략이 구체적으로 논의됐으며 일부 파트너는 생산부터 개발, 유통까지 포괄하는 협력 모델을 제시하기도 했다.

에스바이오메딕스는 이번 BIO USA 2025의 성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파트너들과의 후속 협의를 이어가며 공동연구, 기술이전, 지역별 라이센싱 등 구체적인 사업화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특히 행사에서 얻은 피드백을 제품 개발 및 상업화 전략에 반영해 미국을 포함한 해외 임상 확장과 생산 역량 강화에 집중, 글로벌 진출 가속화를 실행한다는 방침이다.

회사 관계자는 “글로벌 유수 기업들이 에스바이오메딕스의 기술력과 비전에 깊은 관심을 보인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며 “이번 만남을 토대로 앞으로 예정된 후속 미팅들을 통해 글로벌 파트너십을 현실화하고, TED-A9의 전 세계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손풍기 말고 이것"…'40도 폭염'에 주목받는 '생존 매뉴얼' [이슈크래커]
  • 초고령사회 한국, 미래 준비할 때 [초고령 대응, 선험국에서 배운다]
  • 광주 제석산 구름다리서 또 '추락사'...안전대책 절실
  • 지카·니파·엠폭스·뎅기열·에이즈·아메바…동남아 여행 공포심 불러온 바이러스 [해시태그]
  • 美 수출액만 26조원인데...직격탄 맞을까 불안한 中企
  • "25% 관세 현실화하면 성장률 반토막"...막판 협상에 달린 韓경제
  • 체감온도 35도↑…계속되는 폭염에 인명 피해도 급증
  • [송석주의 컷] 여름의 냉기가 피어오르는 이상한 영화
  • 오늘의 상승종목

  • 07.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850,000
    • +0.32%
    • 이더리움
    • 3,635,000
    • +2.02%
    • 비트코인 캐시
    • 686,500
    • +0.22%
    • 리플
    • 3,251
    • +3.21%
    • 솔라나
    • 209,600
    • +1.3%
    • 에이다
    • 830
    • +3.11%
    • 트론
    • 394
    • +1.03%
    • 스텔라루멘
    • 395
    • +11.9%
    • 비트코인에스브이
    • 33,860
    • +0.39%
    • 체인링크
    • 19,090
    • +1.76%
    • 샌드박스
    • 355
    • +4.41%
* 24시간 변동률 기준